현대아울렛 대전점 전경. 사진=이유나기자. |
1. 현대아울렛 대전점 화재
2022년 9월 현대아울렛 대전점 화재로 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유통업계 중대재해처벌법 첫 사례가 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코로나19로 유통업계가 타격을 받던 2020년 6월 '명품 프리미엄 아웃렛'을 표방하며 개점했으나 2년 3개월 만에 대형 참사로, 재개장 시점은 오리무중이다.
2.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청사 이전 논란.
2022년 7월 박성효 전 대전시장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소진공) 이사장으로 취임하며 엑스포 과학공원으로 청사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건물이 낡고 좁다는 것이 이유였지만, 상인들은 원도심 활성화와 백화점 옆이라는 장소의 부적절성을 들어 반대하고 있다. 이전 시기는 내년으로 알려졌다.
3. 온통대전 할인혜택 축소
민선 8기부터 온통대전 폐지론을 강하게 주장한 가운데, 12월 29일 대전시는 온통대전 할인정책 중단을 알렸다. 직접적인 할인혜택과 매출 증대로 지역 소비자와 소상공인에게 큰 호응을 받았던 정책인 만큼 시민들의 아쉬움도 크다. 내년부터 지원 대상은 취약계층으로 좁혀질 것으로 보인다.
4. 100년 역사 유성호텔 매각
107년 역사 대전 대표 향토 호텔인 유성호텔이 매각됐다. 2024년 3월까지 영업을 마무리한 후 5성급 호텔이 들어설 것으로 알려졌다. 유성호텔 매각은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한 온천탕 수요 감소, 시설 노후화, 프랜차이즈 대형 호텔 입점, 전기·가스·상하수도 인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전국적 명성을 날렸던 유성관광특구에 호텔이 줄줄이 매각되며 지역민도 씁쓸해하고 있다.
5. 대흥동 메가시티 주상복합 논란 일파만파
15년 째 흉물로 남아있던 대흥동 메가시티가 2022년 6월 주거지역으로 용도가 변경되며 원도심 침체가 다시 수면 위로 떠 올랐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 수요가 감소해 상업용 부동산 유치가 어려웠다는 것이 메가시티 관계자의 설명이다. 신도심인 유성구엔 대형점포가 최근 2년간 세 군데 들어온 반면 원도심 중구엔 세이백화점이 폐점하는 등 양극화가 계속되고 있다.
6. 세이백화점 폐점
2022년 2월 대전 유일 향토 백화점인 세이 백화점이 매각설이 나온 이후 폐점 절차를 밟고 있다. 해당 구역엔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올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소비패턴 변화와 대형 백화점 입점으로 인한 경영악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1996년부터 중구를 지키던 세이가 폐점하면 인근 상권에선 유동 인구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7. 지방선거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인쇄출판산업단지
2022년 6월 치러진 대전 시장 선거에서 대전인쇄출판산업단지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전국 3대 인쇄거리로 손꼽히는 대전 동구 인쇄거리 땅값이 급격히 상승한 영향이다. 민선 8기가 인쇄산단 추진을 위해 용역을 진행하는 등 실질적인 움직임에 나섰지만, 인쇄인들 자체적 경쟁력 확보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8. 거리두기 완화에 지역 축제 다시 기지개
코로나 거리두기가 완화되며 지역 축제가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2022년 5월 열린 대전 빵축제 '빵모았당' 행사엔 이틀 동안 10만 명이 다녀가며 전국적 인지도를 높였다. 이장우 시장이 강하게 미는 0시 뮤직페스티벌에 이어, 서구 힐링아트 페스티벌, 사이언스 페스티벌, 효문화 뿌리 축제 등 다양한 행사가 열려 지역 상권계에 활력을 더했다.
9. UCLG 총회로 대전 관광산업 탄력
2022년 10월 열린 대전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총회에 사상 최대 규모인 145개국 576 도시에서 6200여 명이 참여하며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1993년 대전 엑스포 이후 최대 국제행사를 치르며 지역 호텔업계와 MICE 산업, 관광업계도 탄력을 얻게 됐다. 하지만, 지역 관광업계에선 민간과의 협력이 부족해 시너지 효과가 작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0. '3고'로 지역 경제 잿빛
코로나 거리두기 해제에도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로 소비가 부진하며 골목 상권에 잿빛이 감돌고 있다. 2022년 7월 충청 물가상승률은 7%를 기록하며 외환위기 이후 23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물가 상승률이 더뎌지고 있지만 올해 전기·가스·수도 요금이 오른 상황에서 내년에도 공공요금 상승을 앞두고 있어 물가 부담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