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산업용지 절대 부족의 영향이 크다. 대기업 유치는 용지 부족 탓에 발목을 잡는다. 신규 일자리 창출도 마땅치 않다. 이로 인해 지역의 우수 인재 유출은 진행형이다. 기업들 역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사무소 등을 설치해 부족한 인력을 채우고 있다. 인력 미스매치 현상이 빚어지는 형국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전시는 '일류경제 도시' 도약을 꿈꾸며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산업단지 조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몇 달 간 절대적으로 부족한 산업용지 밑그림을 그렸다면, 2023년 새해에는 색을 입힐 때다. 2023년 전통산업에서 벗어나 대전시가 계획하고 희망하는 새로운 산업구조 변화가 주목된다. <편집자 주>
이장우 대전시장은 7월 14일 나노.반도체산업 육성 비전을 발표했다. [사진=대전시] |
산업단지 조성과 기업 유치 구상안도 내놨다. 유치 분야는 방산기업, 우주 관련 기업이다. 대전의 강점으로 꼽히는 바이오헬스 분야 유치도 검토하고 있다.
바이오헬스 분야는 동구에 위치할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 헬스 분야는 서구와 유성구 중심의 발전 축을 원도심으로 옮겨간다는 구상이다.
방위사업청 이전에 따른 대기업 산업유치와 용지확보 계획도 나왔다.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177만 평의 부지에 대해 승인·신청 중이다.
국방산단은 국내 최대 연구개발과 국방 인프라를 활용한 중부권 국방융합클러스터 조성이 핵심이다. 위치는 유성구 안산동과 외삼동 일원으로 총면적은 159만7000㎡다. 산업시설용지는 52만1000㎡로 계획되고 있다. 안산산단은 2016년부터 계획됐다. 이후 대전국방융합클러스터 특수 목적 법인이 설립됐고, 추진 5년 만인 2021년 산업단지 지정계획 심의가 고시됐다.
2022년엔 그린벨트 및 산업단지계획 승인 행정절차를 마무리해야 하고, 2023년 보상계획 수립과 보상절차 이행 및 공사가 시작된다. 최종 조성 시기는 2025년으로 계획한다. 사업비는 1조4000억 원으로 첨단센터 관련 산업 등 지역 전략사업과 국방산업을 연계한 산업용지, 연구시설, 주거 지원, 공공기능이 융복합된 특화산업단지로 조성된다.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조감도. |
대전시는 제2대덕연구단지 200만 평, 나노반도체 산업단지 100만 평, 대기업 유치를 위한 일반산업단지 100만 평, 글로벌 플랫폼기업 유치 30만 평, 갑천변 지식산업센터와 스타트업타운 10만 평 등 모두 500만 평의 산업용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우량기업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도 필요하다.
대전은 입주(이전)기업에 대한 지원제도가 있다. 수도권 이전기업과 신·증설기업, 상생형 지역 일자리 기업 등에 국비와 시비를 지원하고 있다.
먼저 수도권 이전기업에 입지보조금으로 토지매입가액의 30% 이내, 설비투자보조금으로 설비투자액의 9% 이내로 지원한다.
신·증설기업과 상생형 지역 일자리기업에는 각각 설비투자금액의 9% 이내로 제공한다. 대전시는 지역특성화업종 50개를 정하고 국비보조금 가산지원 대상업종으로 뒀다.
다만, 타 시도에 비해 부족한 인센티브는 개선해야 한다는 게 대부분 기업인의 목소리다.
기존에 조성된 산단과 현재 조성 중인 산단. |
이와 더불어 생산 가능 연령 인구가 감소하고 전통 산업 영역에서 절대적 일자리 수가 급감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도시권으로 일자리 쏠림은 지역 경쟁력을 저하 시키면서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된다.
다만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과학기술과 R&D 역량은 세계적 수준으로 충분한 잠재성을 갖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에는 전통산업과 연구개발 벤처기업 등이 협력해 사업구조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그런데도 타 시도에 비해 산업기반이 약한 업종이 대다수다. 업종 불균형에 따른 편중도 심하다.
대전의 경우 산단과 대덕특구가 시 외곽지역에 조성돼 있고, 계획하거나 조성 중인 산단도 있다. 특히 특화 업종 간 산배 분포해 대전시 지역 간 업종별 불균형 단점 극복을 도심융합특구로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도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편중된 산단을 펼치는 것도 중요하다.
대전시 산업단지 현황을 보면 9곳이 조성됐거나 계획되고 있다. 먼저 유성구에는 신동·둔곡(344만5000㎡)를 비롯해 장대도시첨단(7만3000㎡), 안산첨단국방(159만1000㎡), 대동·금탄(156만7000㎡), 탑립·전민(94만8000㎡) 등이 완공되거나 조성 중이다. 대덕구에는 한남대 캠퍼스혁신파크도시첨단(3만㎡), 대덕평촌(20만1000㎡), 대전산단(9만9000㎡)이 있다. 서구에는 평촌(85만9000㎡)이 역할을 하고 있다.
산업용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대전시가 '산업용지 500만 평+α' 조성으로 대기업 투자 전진기지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현재 산단을 조성할 수 있는 부지를 물색하는 등 대전시가 시 전체 56.3%의 개발제한구역을 가용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경석 대전세종연구원 혁신공간연구실장은 앞서 열린 '민선 8기 대전경제 회복과 성장 과제(방안)' 세미나에서 "대전은 지식기반형 도시 혁신경제 성장을 위한 적시적 산업용지 공급이 필요하다"면서 "대전 도시산업 생태계와의 시너지 효과 창출 극대화를 위해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철도교통과 지식산업, 중소기업, 과학기술 관련 공공기관을 중점적으로 유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