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지구온도상승 1.5도의 의미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지구온도상승 1.5도의 의미

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 승인 2022-11-22 08:42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김성수
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지난해 11월 글래스고우에서 열렸던 제26차 기후변화 유엔기후변화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와 이 총회에 참석했던 각국정상들에게 말만 내세운다고 담대한 일침을 가했던 스웨덴 소녀환경운동가 툰베리를 소개했던 적이 있다. 우리 나라는 이 총회에서 탄소 중립을 위해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하여 도전적인 NDC(2030년, 2018년 대비 40%탄소배출 감소)를 발표하는 등 모범적인 기후변화대응국가임을 표명한바 있다. 그후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를 만들고 대응하는 듯 하였으나, 이전과 비교하여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수% 늘었고, 원전 의존도 역시 증가했다는 통계자료가 발표되었다. 경제성을 고려한 에너지정책으로 기후변화 대응이 쉽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금년 COP27은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열렸고, 우리 나라에서는 나경원 기후 특사와 함께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참석하여 기조 연설을 하였고, 90여개국 정상을 포함한 198개 나라의 고위급 인사들도 기후 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골자로 의견들을 피력하였다. 먼저 중간 선거에서 예상 밖 선전(?)한 바이든 미국대통령이 참석하여 미국의 환경대응경과를 설명하였고, 브렉시트, 총리의 조기경질 등 국가 정책 결정이 그리 순탄치 않아 보이는 영국의 신임 총리 시낵도 번복하긴 했지만 참석하여,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이유로, 탄소 감축의 조기 실행을 연설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툰베리가 질책한 것처럼 각국 정상들은 입을 모아 기후 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 보인다. 총회는 당초 금요일(18일) 폐막 예정이었던 것을 일정을 하루, 이틀 늦추면서까지 폐막 선언과 결의문 채택을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손실과 피해' 보상을 위한 기금 조성과 그 운용에 있다고 보도되고 있다. 1인당 탄소배출량이 제일 많은 미국, 현재 탄소 배출량이 제일 많은 중국, 기후변화 대응에 제일 적극적인 EU 등 각국의 기후 변화를 둘러싼 이해관계는 복잡하다. 화석연료를 활용해 산업화를 먼저 이룬 선진국과 극심한 가뭄과 홍수, 해수면 상승 등 피해를 보고 있는 기후 재난 취약국 사이의 책임과 보상 공방으로 구체적인 총액과 배분 방안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채 총회는 막을 내렸다.

본인이 겪은 것을 다른 사람에게 100% 전달하기도, 공감하기도 쉽지 않다. 본 컬럼에서 소개되었던캘리포니아 산불, 중국 계림의 물난리 외에도 전 국토의 1/3이상이 잠겼던 파키스탄의 수해, 해수면이 상승되고 있는 남태평양의 섬나라들, 혹은 빙산이 녹고 있는 남극 곰 들의 기후 변화의 재난 상황을 당사자가 아니면 절실하기 쉽지 않다. 즉, 기후 과학자들이 말하는 '인류 생존의 마지노선이 지구 온도 상승 1.5도'를 실감하기는 힘들다. 이번 COP27 총회에서도 한계온도를 1.5도에서 2도로 높이자는 논의도 있었던 모양이다. 역시 '남의 일'인 모양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미국과 중국의 패권다툼, 혹은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과 네옴시티 프로젝트가 더 솔깃해지는 이유는 '절실한 나의 일'이기 때문일까? 이런 이슈 기업 및 국가 경제 을 고려한 관심은 기후 변화에 대한 것보다 클지도 모르겠다. 필자의 짧은 소견이지만, 예시한 전쟁 중인 러시아의 에너지정책, 미중의 갈등, 네옴시티 등 요즘의 주요 뉴스들이 앞으로 '남의 일'인 기후 변화의 영향과 무관할 수 없다.

어느 식자의 어록 중에 '현명한 사람은 책에서 배우고, 우둔한 자는 경험을 통해서 배운다' 했지만, 정말 우둔하다면 경험을 통해서도 배우지 못할지도 모른다. 삼가 지난 잘못을 경계하라는 유성룡의 징비록은 정작 침략자인 일본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300여년후 우리 국민들은 온갖 고초와 희생을 겪었다. 굳이 임진왜란과 구한말의 상황을 현 세계 정치가들의 국가이익경쟁에 휘말린 기후변화 미대응이 인한 인류 존재 위협에 대비하는 것은 비약 일까? 그래서 툰베리에 필적하는 중국의 소녀 환경운동가 Howey Ou의 트위터('天下興亡 匹夫有責')가 떠오른다.



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단독]'술자리 강요 및 부당업무 지시'… 대전시축구협회장 갑질 논란 확산
  2. 세종시 '종합체육시설·한글문화단지', 정부 예산안 반영 노크
  3. 세종시 나성동 도시상징광장...이번엔 '문화축제'로 바통 잇는다
  4. '꼭 필요한 환경' 제4회 필환경 캠페인 공모전 시상
  5. 세종시 합강동 '과학문화센터' 2028년 개관 노크
  1. 이장우 대전시장, 유인촌 장관 만나 옛 충남도청사 활용 협조 당부
  2. 건양대, 지방대학활성화 사업 연차평가 'A등급'
  3. '정광태·권순오 국장' 공직 마무리....세종시교육청 조직개편 박차
  4. DSC플랫폼 '한-일 리빙랩 네트워크 포럼' 업무 협약
  5. 건보공단 대전·세종·충청본부, 국가 암 검진 수검 독려 이벤트

헤드라인 뉴스


尹 정부 지방정책인 ‘기회발전특구’에 대전 등 8개 시·도 지정

尹 정부 지방정책인 ‘기회발전특구’에 대전 등 8개 시·도 지정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핵심정책인 ‘기회발전특구’에 대전시를 비롯해 전국 8개 시·도가 지정됐다. 대전은 바이오와 방산기업이 있는 유성구 2곳에 199만3388㎡(60만3000평) 규모의 부지가 선정됐는데,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개발제한구역(GB) 해제 의결을 지정 조건으로 달았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위원장 우동기)는 20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경북 포항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에서 열린 제9차 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출한 기회발전특구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위해 지방정부가..

대전시축구협회, 사상 초유 행정 마비 위기 직면
대전시축구협회, 사상 초유 행정 마비 위기 직면

<속보>=대전시축구협회가 최근 회장의 '갑질 및 사유화' 논란에 휩싸이면서 사상 초유의 행정 마비 위기에 직면했다. 수년간 근무로 업무에 능숙했던 직원들이 대거 조직을 이탈했기 때문이다. 당장 7월 예정된 협회 주최 전국 규모 축구대회가 안영생활체육공원에서 펼쳐질 예정이지만, 회장과 퇴사 직원들 간 갈등이 소강 기미 없이 오히려 확대되는 양상도 보인다.<중도일보 6월 20일 자 4면 보도> 대전시체육회 소속 정회원종목단체인 대전시축구협회는 중구 부사동 일원에 소재한 사단법인으로, 대전 지역의 축구 인프라 저변 확대와 함께 엘리트 축..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 김윤신 예술성 조명, `아르헨티나에서 온 편지`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 김윤신 예술성 조명, '아르헨티나에서 온 편지'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이자 1960년대 파리 유학시절 이응노에게 조각을 가르쳐주며 교류를 쌓은 김윤신의 특별기획전이 대전에서 열린다. 이응노미술관은 6월 25일부터 9월 22일까지 '김윤신-아르헨티나에서 온 편지'를 개최한다. ▲김윤신 그는 누구인가 김윤신은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녀는 1964년 파리국립고등미술학교 조각과 입학을 계기로 파리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이응노와 처음 만났다. 그 당시 이응노는 파리에 정착한 지 햇수로 5년째였으며, 1962년 당대 '엥포르멜' 운동을 주목한 폴 파케티 화랑과 전속..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많이 먹고 무럭무럭 자라렴’ ‘많이 먹고 무럭무럭 자라렴’

  • 발달장애인 가정 생명보호정책 지원체계 구축 촉구 오체투지 발달장애인 가정 생명보호정책 지원체계 구축 촉구 오체투지

  • 집중호우 대비 하상주차장 폐쇄 집중호우 대비 하상주차장 폐쇄

  • 여름철 수난사고 대비 헬기 인명구조훈련 여름철 수난사고 대비 헬기 인명구조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