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 허리띠 졸라맨다... 충청권 6%대 물가 상승에 지역민 '한숨'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치솟는 물가 허리띠 졸라맨다... 충청권 6%대 물가 상승에 지역민 '한숨'

대전 5.2%, 세종 5.8%, 충남 6% 소비자물가 고공행진 계속
서민층 대표적 생활여력 보여주는 대형마트 판매지수 감소
기름값 상승, 소주·맥주 가격 상승도 가계 부담에 한몫키도
7월 가스요금 인상 예고에 지역민 지갑 더 얇아질까 한숨

  • 승인 2022-06-14 16:22
  • 신문게재 2022-06-15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대전물가지수
세종물가지수
충남물가지수
#1. 직장인 김 모(39·대전 중구) 씨는 치솟는 물가에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먹는 것부터 입고 쓰는 것까지 최소한의 비용으로 해결한다. 기름값이 2100원대 목전까지 다가오자 급한 일이 아니고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월급 빼고 모든 게 인상된다는 동료들과의 우스갯소리에 김 씨는 마음이 무겁다. 김 씨는 "물가 인상으로 고정적으로 빠져나가는 입고 먹고 쓰는 걸 조금씩이라도 줄여보려고 한다"며 "저축할 여력도 없어진다"고 푸념했다.

#2. 주부 차 모(52·대전 서구) 씨도 계산기를 두드리기 바쁘다. 가계부를 작성할 때면 매월 총 금액이 상승하는 게 눈에 보인다고 한숨을 내쉰다. 식재료 구매 가격이 오르자 4인 가족인 차 씨 가족의 생활비는 빠듯하다. 전기·가스비 인상도 겹치며 물가가 두려울 지경이다. 그는 "남편 월급은 고정적인데 물가가 이렇게 오르면 당장 먹고 입고 쓰는 것부터 줄여나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충청권 물가가 6%에 육박하자 가계 부담이 커진 지역민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며 근근이 버텨 나가고 있다.

농·축·수산물 가격 인상과 기름값 사상 최고가 등이 겹치면서 생활 형편을 보여주는 소비지수가 바닥을 벗어나지 못한다. 14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발표한 '최근 대전·세종·충남지역 실물경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의 소비자물가는 4월 4.5%에서 5월 5.2%로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이 2.5%에서 4.7%로 올랐고, 전기·가스요금 인상에 따라 4월 5.7%에서 5월 8.8%로 인상됐다.



세종도 이 기간 5%에서 5.8%로 6%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농·축·수산물은 6.1%에서 7.2%로 상승했으며, 전기·수도·가스도 6.2%에서 9.1%로 인상됐다.

충남은 6%대에 진입했다. 충남의 소비자물가는 4월 5.6%에서 5월 6%로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이 2.4%에서 3.6%로 인상됐으며, 전기·수도·가스 등도 7.6%에서 8.1%로 올라섰다. 물가가 치솟자 지역민들은 먹는 것부터 줄여나갔다. 서민층의 생활 여력을 보여주는 대형마트 판매액지수는 4월 1년 전보다 -6.3% 하락했다. 이는 3월 6.7% 하락한 이후 반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세종은 4월 4.4%로, 3월 3.0%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으나 여전히 한 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한다. 충남은 3월 -0.9%에서 4월 -1.5%로 마이너스 기조가 계속되고 있다.

기름값 인상도 가계에 부담이다.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오피넷에 따르면 13일 리터당 평균 가격은 대전 휘발유 2066원·경유 2068원, 세종 휘발유 2065원·경유 2067원, 충남 휘발유 2069원·경유 2070원이다.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최고가다. 서민의 애환을 달래주는 소주·맥주 가격도 인상됐다. 주류업체들이 소주 공장 출고 가격을 7.7%~7.9% 인상하자 일반음식점과 술집 등에서도 주류값을 기존 4000원에서 5000원으로 올렸다. 맥주가격도 평균 7.7% 인상하며 맥주도 5000원으로 인상했다.

7월 가스요금 인상 예고에 지역민의 지갑은 더 얇아질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가스공사 등에 따르면 7월부터 민수용(주택·일반용) 가스요금의 원료비 정산단가가 메가줄(MI·가스 사용 열량 단위)당 1.90원으로, 기존보다 0.67원 인상된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연고 e스포츠 구단 속속 늘어난다
  2. [날씨] 이번 주말 돌풍 동반 강한 비 내려
  3.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무산된 행정수도 재소환
  4. 국립한밭대 '글로컬대학30 및 통합추진 원칙' 대학 구성원과 공유
  5. '세종시=행정수도' 거점, 세종동(S-1) 국가상징구역 미래는?
  1. 천안의료원·익선원 학대피해아동 건강증진을 위한 업무협약
  2. 순천향대천안병원 임승규 교수, 취약골절네트워크 아태학회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3. 충남중기청, 창업지원기관 실무협의회 개최
  4. 산업인력공단 대전본부장에 신장호 취임 "지역 경제성장 마중물 최선"
  5. 폭염 대비 ‘저소득 어르신 건강한 여름나기’ 후원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시가 대전역 주변을 중심으로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메가 충청 스퀘어 등 대전역세권 일원이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돼 인근 지역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도심융합특구는 대전역세권과 선화구역 일원 142만㎡에 2031년까지 사업비 2조3000억 원을 투입해 메가 충청 스퀘어와 복합환승센터, 문화공간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메가 충청 스퀘어는 소제동 일대 1만4301㎡, 연면적 22만9000㎡의..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엄마 말씀 잘 듣고 있어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27살의 경찰관 아빠는 6살 어린 딸의 머리를 몇 번이나 쓰다듬은 후 집을 나섰다. 쏟아져 내려오는 북한군에 맞서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한 그의 유해는 2007년 발굴된 후 올해 초 신원이 확인됐고, 2024년 6월 27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지 74년 만에 드디어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경찰청은 27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최근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전사 경찰관에 대한 유해 안장식을 거행했다. 이번에 안장되는 전사 경찰관은 6·25 전쟁 당시 서..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시가 정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제약 바이오 글로벌 중심 도시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연구개발(R&D) 인력이 풍부한 대전시에 정부와 지자체의 장기간 대규모 지원이 이뤄지면서 바이오 신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 결과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대전이 최종 선정됐다. 이로써 대전은 각종 굵직한 예산과 각종 혜택의 주인공이 되면서 신약 개발 과정에서 겪었던 설움을 한 번에 털어낼 수 있게 됐다. 대전은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 ‘최저임금 인상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