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강유역환경청은 13일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대청호 조류대책위원회를 개최해 상수원 수질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금강유역환경청 제공) |
금강유역환경청은 조류경보제 일환으로 대청호의 녹조대응을 위해 금강청, 지자체, 수자원공사 등이 참여하는 '대청호 조류대책위원회'를 매년 운영하고 있다.
이날 위원회 회의에는 위원장인 정종선 금강유역환경청장을 비롯해 금강물환경연구소, 대전시, 충북도, 대전·청주 상수도본부, 관할 지자체,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석했다.
대청호는 보통 8월 초에 조류경보가 발령되나, 금강유역환경청은 경보 발령 약 두 달 전부터 위원회 회의를 소집해 선제적으로 녹조대응을 주문했다.
또 금강유역환경청, 금강물환경연구소, 상수도사업본부, 관할 지자체, 수자원공사 등이 참여하는 녹조대응팀을 운영하기로 했다. 녹조 발생상황을 신속히 공유·전파하고, 기관별 대응상황을 수시로 점검하는 등 신속하고 빈틈없는 대응태세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정종선 금강유역환경청장은 "여름철 집중강우 이후 녹조를 유발하는 영양염류 증가 등으로 녹조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올해 여름철 기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으로 충청권 식수원인 대청호의 안전을 위해 보다 이른 시기부터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