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다문화]여름철 일본의 인기 명소 ‘팜 도미타’

  • 다문화신문
  • 태안

[태안다문화]여름철 일본의 인기 명소 ‘팜 도미타’

훗카이도의 라벤더 공원으로 6월부터 8월까지가 절정

  • 승인 2022-06-09 17:32
  • 신문게재 2022-06-10 11면
  • 김준환 기자김준환 기자
1fe243b67045090d557fc89e63086808-1024x683
여름철로 접어드는 6월부터 일본 최고의 인기 명소는 홋카이도에 있는 라벤더 공원인 '팜 도미타'로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사진은 '팜 도미타' 공원.


여름철로 접어드는 6월부터 일본 최고의 인기 명소는 홋카이도에 있는 라벤더 공원인 ‘팜 도미타’로 라벤더 꽃밭의 면적이 5㏊로 매우 넓고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국내외에서 매년 100만 명을 웃도는 관광객들이 찾는 라벤더의 명소로 영화와 드라마, 광고 등 촬영지로 유명하다.

일본에서 가장 역사 깊은 라벤더 공원으로 라벤더는 품종에 따라 피는 시기가 다르고, 일찍 피는 것은 6월 하순부터 개화가 시작되어 7월 중순에 만개 된다.



팜 도미타가 유명해진 계기는 일본의 국철 달력에서 라벤더 밭이 소개되면서 지명도가 높아져 전국 각지에서 관광객이 방문한다.

팜 도미타 공원은 여러 개의 꽃밭이 있는데 비탈면에 펼쳐진 모습이 마치 보라색 카펫과 같다.

특히, 가장 좋은 볼거리는 무지개처럼 7가지 빛깔의 꽃이 피는 ‘채색 밭’으로 보라색 라벤더를 비롯해 흰색 안개꽃, 붉은색 포피, 분홍색 커 마치 풀, 오렌지 캘리포니아 포피 등 꽃들이 완만한 언덕을 수놓는 팜을 대표하는 꽃밭이다.

홋카이도 라벤더가 만개하는 늦은 6월에서 이른 8월까지가 이곳을 방문하기에 제일 좋은 시기로 그레이프 히아신스, 제비꽃, 아이슬란드 포피, 루핀, 매리골드와 같은 꽃들도 심어져 있어 계절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뽐내고 있다.

또 명물인 라벤더 소프트크림은 라벤더 향이 상큼하고 깔끔한 맛이 인기가 있다.기무라 마키 명예기자 (일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기고] 대전·충남 통합의 과제와 전망
  1. SKT 유심교체 첫날, 대전 대리점 곳곳 긴 줄… 노년층 혼란 극심
  2. [홍석환의 3분 경영] 잃어버린 나
  3. "모든 노동자 안전할 권리 보장" 산재 근로자의 날 대전 노동계 대책 촉구
  4.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5. 유심 교체의 긴 줄

헤드라인 뉴스


국힘 안철수·한동훈 "이재명, 개헌없이 行首 완성?" 날세워

국힘 안철수·한동훈 "이재명, 개헌없이 行首 완성?" 날세워

국민의힘 안철수,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들이 28일 나란히 충청을 찾아 전날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후보를 겨냥해 공세를 퍼부었다. 이 후보가 충청 핵심 현안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과 관련해 반드시 필요한 개헌을 언급하지 않는다며 비판, 날을 세운 것이다. 안 후보는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을 참배한 뒤 대전시의회 기자실을 찾은 자리에서 대전·충청·세종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공약은 세종 행정수도 완성과 AI·반도체·바이오산업 육성, 수도권·세종·대전 GTX 연계 등 "충청을 미래 성장 엔진으로 키우겠다"는 안 후보의 구상을..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충청권 내 5월 아파트 분양은 1400여 세대 규모로 모두 충북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남은 분 물량이 없어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22개 단지 1만 7176세대(일반분양 1만 106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일 실적과 비교해 7%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1만1697세대, 지방 5479세대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6603세대 ▲서울 4333세대 ▲인천 761세대가 예정돼 있고, 지방은 ▲부산..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정부가 지역소멸 해결을 위해 추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방치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씨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추진 중인 5대 광역시의 국회의원들은 포럼을 만들어 공동대응에 나서고, 사업에 필요한 원활한 재원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안도 발의됐다. 우선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포럼)은 4월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하고,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민간, 학계 등이 모여 도심융합특구 추진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진다. 도심융합특구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모델 삼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 유심 교체의 긴 줄 유심 교체의 긴 줄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