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 농수산물이 가장 많이 거래되는 천안시농수산물도매시장은 일평균 5000명의 시민이 이용하고 4000대의 차량이 출입할 만큼 규모가 크다.
이곳에서는 총 174개 품목이 거래되고 있으며 두류, 잡곡류, 서류, 과실류, 수실류, 엽경채류, 신선해조류 등 채소나 과일, 수산물 등을 취급하고 있다.
천안시농수산물도매시장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거래가 가장 많은 2019년의 경우 과일 3만3577t, 채소 3만4887t, 수산물 1044t 등 총 6만950t이 유통됐다.
거래 금액은 과일 808억4700만원, 채소 327억8300만원, 수산물 74억700만원으로 총 1210억3800만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2020년부터 급상승한 물가 때문에 거래물량은 줄어든 반면 거래금액은 월등히 증가했다.
2020년 기준 과일 3만722t, 채소 3만5586t, 수산물 905t을 기록, 총 6만7213톤을 거래해 2295톤이 감소했지만, 거래금액이 총 1317억5400만원으로 집계되면서 107억1600만원이 급증했다.
아울러 2021년 과일 2만9102t, 채소 3만3658t, 수산물 833t으로 거래물량이 2020년 대비 3620t 줄어들어 총 6만3593t만 거래됐지만, 거래금액은 68억3900만원이 증가되면서 시민들이 치솟은 물가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민 A(33)씨는 "소주가 6000원에 판매되는 음식점이 있다는 뉴스를 봤는데 현실로 다가오는 것 같다"며 "코로나가 종식되는 시점에서 시는 재난지원금 지급이 아닌 실질적으로 천안시의 물가를 안정화 시킬 방법을 구상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라는 질병으로 시작된 물가상승은 2년간 지속되고 있다"며 "가장 큰 원인으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일치하지 않아 물량순환으로 인한 가격의 변동이 크다"고 설명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