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겸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2020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회조사에 따르면 대학 전공과 직업이 일치하는 경우는 37.2% 수준으로 낮은 수치의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정말로 배우고 싶은 내용을 배우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시사하며, 학생 맞춤형 교육 환경의 제공이 부족한 대학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찰스 다윈이 '창의력의 원천은 재미를 가지고 노력하는 마음이다.'라고 말한 것과 같이, 흥미와 관심이 없는 교과에서 학습 동기와 몰입을 촉진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대학에서 창의적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생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이러한 학습 과정을 제공한다면 학습 동기와 몰입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고, 동시에 창의성을 비롯한 고차원적 사고의 함양까지 기대할 수 있다.
창의적 인재의 육성을 위해서는 위와 같은 대학 자체의 노력 외에도 대학의 재정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OECD에서 발표한 Education at a Glace 2021에 의하면 우리나라 고등교육에서 학생 1인당 투자되는 공교육비는 약 11,290달러로서, OECD 평균인 17,065달러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투자가 요구된다. 적은 투자로 높은 성과를 얻는다는 것은 복권을 긁어 당첨되기를 바라는 것과 같다. 그러한 의미에서 현재 여러 사업으로 분할되어있는 정부재정지원 사업을 일원화하여 대학에 일괄지급하고, 그 운영성과에 대해 통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대학 재정의 전반적인 확대와 함께, 재정에 대한 자율성을 확보하여 예산 집행의 효율성 향상 및 불필요한 예산 사용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배출되는 창의적 인재들은 궁극적으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의 능력은 더 이상 새로운 지식의 창출에만 국한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대학, 기업, 정부, 그리고 시민사회가 상호작용하며 발전해 나가는 쿼드러플 헬릭스(Quadruple Helix) 모델이 주목받는 요즈음, 창의적 인재는 사회의 문화적·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반이 된다. 즉, 창의적 인재의 육성은 곧 지역사회의 발전으로 이어지며, 지역사회가 발전할수록 대학의 경쟁력 또한 강화되는 선순환이 나타난다.
2018년부터 시작된 대학기본역량진단으로 대학들은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취업률 및 연구성과 등 관련된 실적 달성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노력과는 별개로, 국내 대학의 국제 경쟁력은 여전히 낮기만 하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우리가 중요한 무엇인가를 놓치고 있지는 않았는지 되돌아보게 한다. 지역사회의 발전, 나아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창의 인재 육성 방법이 조금 더 발전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세계 속에 우리나라와 지역사회, 대학이 함께 우뚝 서는 그날을 그려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