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낙상사고는 겨울철만?… 등산객 몰리는 봄철도 낙상사고 多
낙상사고라 하면 보통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봄철에도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 벚꽃놀이 등 꽃구경을 하기 위해 산을 찾는 등산객들이 몰리고 특히 주말에는 등산객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낙상 사고의 빈도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등산 중 낙상을 하면 가벼운 타박상을 입을 수도 있지만 팔로 땅을 짚거나 팔꿈치로 땅을 짚었을 때 충격으로 인한 손목골절이나 팔꿈치 골절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골절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낙상 시 받는 충격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골다공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 일반인보다 골절이 더욱 쉽게 일어난다.
▲가벼운 충격에도 골절된다면… 골다공증이 원인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질적인 변화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원인으로는 중년이후 조기 폐경, 흡연, 알콜, 류마티스관절염, 유전적 요인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특별한 증상은 없으나 골절이 쉽게 생기고 특히 손목뼈, 척추, 고관절에서 골절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골밀도 검사 시 T값으로 표현하는데 2.5 미만의 경우 골다공증으로 진단한다.
▲손목골절 시 부종 동반되기도
손목은 팔 부분의 2개의 긴 뼈와 손바닥 부위의 8개의 작은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흔히 말하는 골다공증성 손목 골절은 긴 뼈, 특히 요골이라는 뼈의 원위부에 발생하는 골절이다.
충격의 정도에 따라 골절의 형태가 다양하지만 대부분 넘어지며 신전력이 작용해 손등 쪽으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만약 골다공증이 없는 젊은 사람의 경우 긴 뼈가 아니라 손바닥 쪽 작은 뼈에 골절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엄지손가락 근위부의 주상골이라는 뼈인데, 경미한 경우 골절의 진단이 어렵고 만약 불유합이 온 경우 예후가 매우 나쁘기 때문에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다친 쪽 손목에 부종이 동반되기도 한다.
▲골절 후 합병증 주의해야
스트레칭을 골절은 X-Ray 검사로 쉽게 진단이 가능하며 미세골절인 경우 CT, MRI로 확인이 가능하다. 대개 응급실이나 정형외과에서 도수정복술(잡아 당겨서 배열을 맞춤) 및 석고 고정술로 일차적인 치료를 할수 있으며 배열이 잘 되었을때는 6주에서 8주정도의 석고고정(깁스)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팔꿈치 같은 관절이 포함된 골절이나 복합골절, 분쇄골절의 경우 수술적 방법으로 경피적 핀삽입술이나 골 외고정장치 삽입 등으로 치료해야 한다.
골절 후 합병증을 주의해야 하는데 손의 감각신경장애, 골절부위가 붙지 않는 경우, 혹은 골절부위에 힘줄이 유착되어 운동장애가 남는 경우, 원인을 알수 없는 통증이 있을 수 있기에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상의해야 한다.
▲스트레칭 등으로 낙상사고 방지가 우선
낙상사고를 당한 후 응급조치를 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연에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그렇다면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안은 무엇일까? 의료진들은 가장 좋은 방법으로 스트레칭을 꼽았다.
겨울에 적게 활동한 만큼 유연성 또한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기에 야외 활동 전에는 스트레칭 등으로 근육의 유연성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또 무리한 활동을 하기 보다 자신의 체력 상황에 맞게 활동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전우리병원 관절센터 정재균 진료원장은 "봄철 낙상사고 늘어나고 있는데, 낙상 사고 발생 시 바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후유증을 겪게 될 수도 있다"면서 "적절한 치료도 중요하지만 낙상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트레칭 등 가벼운 몸풀기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