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제7기 출범… 지속가능발전 역할 기대

  • 전국
  • 공주시

공주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제7기 출범… 지속가능발전 역할 기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 자문 등 민관협력 거버넌스 사업 주도

  • 승인 2022-03-07 14:21
  • 신문게재 2022-03-08 13면
  • 박종구 기자박종구 기자
지속협정기총회
사진은 2021년도 정기총회 모습.
공주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 자문기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주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제7기 출범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을 이어간다.

7일 시에 따르면, 공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상임회장 장길수)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제13차 정기총회를 서면으로 대체, 사업계획안 등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의결사항은 2021년 감사보고, 사업 결산보고 및 2022년 사업계획, 예산 심의, 운영규정 개정, 임원 연임 등 안건 7건으로, 위원 50명의 찬성으로 가결하고 2년간 협의회 업무를 추진한다.

특히 올해 중점 사항으로 ▲온실가스 감축 진단 컨설턴트 양성 ▲저탄소녹색 생활 실천운동 전개 ▲지속가능발전 시민교실 운영 ▲기후변화 대응교육 ▲찾아가는 에너지 교실 운영 등을 꼽았다.



한편, 지난 제6기 장길수 상임회장이 연임, 계속해서 제7기 협의회를 이끌어가게 됐다.

장길수 회장은 "저탄소녹색 생활 실천운동 전개 및 실천으로 국민이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정섭 공주시장은 "그동안 지속 추진해왔던 기후변화대응 환경교육과 캠페인은 물론, 미세먼지 저감 대책 등 환경보전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시민의식 개선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공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2009년 지방의제21 추진 전담기구인 푸른공주사랑 21로 출범한 뒤 2016년 '공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공주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자문과 환경보전을 위한 민관 협력 거버넌스 사업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공주=박종구 기자 pjk006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SKT 유심교체 첫날, 대전 대리점 곳곳 긴 줄… 노년층 혼란 극심
  1. [기고] 대전·충남 통합의 과제와 전망
  2.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3. 유심 교체의 긴 줄
  4. 늘봄학교 이후 수입 줄어… 설자리 잃은 방과후 강사들
  5. [홍석환의 3분 경영] 잃어버린 나

헤드라인 뉴스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에서 충북 옥천을 잇고 한때는 청주 방향으로 분기하던 교통 요충지에서 일제강점기 방공호 동굴 2개가 추가로 확인됐다. 밖에서 동굴 입구가 보이지 않도록 벽을 세워 숨겼고, 산봉우리 아래 4개의 동굴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팠다는 증언까지 나왔다. 대전 동구 신상동 오리골마을에서 만난 송정의(91) 옹은 벚꽃길로 유명한 회남로 주변에 일제강점기 조성된 동굴에 대해 증언했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이 마을 역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하 방공호 이야기를 듣고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곳은 1975년 대청댐이 준공되어 수몰되기 전에는..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충청권 내 5월 아파트 분양은 1400여 세대 규모로 모두 충북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남은 분 물량이 없어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22개 단지 1만 7176세대(일반분양 1만 106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일 실적과 비교해 7%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1만1697세대, 지방 5479세대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6603세대 ▲서울 4333세대 ▲인천 761세대가 예정돼 있고, 지방은 ▲부산..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정부가 지역소멸 해결을 위해 추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방치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씨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추진 중인 5대 광역시의 국회의원들은 포럼을 만들어 공동대응에 나서고, 사업에 필요한 원활한 재원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안도 발의됐다. 우선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포럼)은 4월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하고,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민간, 학계 등이 모여 도심융합특구 추진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진다. 도심융합특구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모델 삼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 유심 교체의 긴 줄 유심 교체의 긴 줄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