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향토백화점 '세이' 백화점 문 닫나…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지역 향토백화점 '세이' 백화점 문 닫나…

온라인으로 소비트렌드 변화
원도심 쇠퇴 영향

  • 승인 2022-02-16 16:10
  • 수정 2022-05-07 21:30
  • 신문게재 2022-02-17 1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2021031101001065100045791
지역 향토백화점인 세이백화점 매각설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 향토백화점인 세이백화점의 매각설이 흘러나오면서 지역 유통업계가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당장 세이백화점은 이 같은 매각설에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이지만 지역 경제계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가 3년여간 계속되면서 빠르게 재편하는 유통시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씁쓸해 하고 있다.

동양백화점 매각 후 원도심 유통업계의 패권을 쥐던 백화점 세이마저 흔들리면서 원도심 공동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16일 지역 유통가에 따르면 최근 며칠간 지역 인터넷 카페를 중심으로 백화점 세이 매각설이 핫 이슈로 부상했다.



1996년 개점한 백화점 세이는 2001년 (주)신우백화점세이에서 (주)백화점 세이로 분리독립한 후 아웃도어전문관인 대정점과 탄방점 신관, 메종드세이 등을 개점하며 지역에서 몸집을 불려왔다. 본점이 위치한 문화동에는 세이 투(TWO)와 세이 쓰리(3)를 잇달아 개점하며 원도심 맹주로 굳히기에 들어가기도 했다.

하지만 계속된 경기 침체와 코로나19 사태까지 장기화 하면서 2019년 탄방점이 KB부동산신탁 매각된 데 이어 본점을 두고도 매각설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는 매각이 되더라도 폐점보다는 매각 후 재임대 방식으로 운영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대전 갤러리아타임월드점이 천안 센터시티점과 광교점에 이어 '세일 앤 리스백' 형태로 매각을 추진하는 등 유통업계 전반이 몸집 줄이기에 나서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세이백화점 역시 임대 방식을 통해 현금 실탄을 확보하는 것이 코로나 시기에 훨씬 안정적인 방법이라는 해석이다.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쇼핑이 대세로 뒤바뀌고 소비 양극화도 커진 상황에서 세이백화점의 운영이 여의치 않은 것은 우려를 낳는다.

실제로 세이 백화점을 운영하는 세이디에스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824억8986만5988원이던 매출액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에는 247억7607만6738원으로 70% 가까이 급감했다.

지역에서는 홈플러스 둔산점과 동대전점이 폐점된데 이어 세이백화점 마저 흔들리자 원도심 공동화가 더 빨라지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하고 있다.

세종점 개점을 앞두고 코스트코 문화점 폐지 논란이 제기됐던 점을 감안하면 세이백화점의 매각은 원도심을 중심으로 했던 한 시대의 퇴장을 의미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이백화점 백화점 관계자는 "매각한다는 소문이 돌고 있는 걸 알지만 정확하게 정해진 건 없다"라고 말했다.

박유식 대전과학기술대 금융부동산행정학과 교수는 "온라인으로 쇼핑트렌드의 변화가 신도심으로 중심 이동보다 큰 타격을 줬을 것"이라며 "원도심 공동화는 계속해서 나타났던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4.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5.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