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수 방사선안전관리부장 ▲김종진 방사성폐기물관리센터장
◇실·팀장급
▲김태형 원자력안전관리실장 ▲김현조 원자력통제실장 ▲장원혁 방사성폐기물총괄관리실장 <이상 12월 16일 字>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2004년 1월 '신행정수도특별법 공포 후 10개월 만에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2020년 7월 '행정수도 이전 선언과 특별법 제정 움직임, 이후 6개월 만에 좌초, 수도권 땅 투기 논란으로 흡수', 2025년 6월 '대선 국면의 행정수도 개헌론과 특별법 재심 의제 수면 위 그리고 ???'. '세종시=행정수도' 담론이 이번에도 암초를 만나 좌초되는 역사에 놓일 것인가. 아니면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대의로 자리매김할 것인가. 수도권 초집중·과밀과 국가 불균형, 지방소멸·고령화·저출산이란 국가·시대적 위기 요소를 고려하면, 더는..
충남도 내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인건비 지원사업이 대폭 축소됐다. 충남경제진흥원은 인건비 지원과 같은 직접지원에 형평성 문제가 있다며 인턴 사업 등 간접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제조업 중심으로 산업군이 형성된 충남에서 실효성이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끊이질 않고 있다. 15일 충남경제진흥원(이하 진흥원)에 따르면 인건비를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예산은 2023년 121억 8000만 원에서 2024년 60억으로 감액 편성됐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도내 청년층의 지역 정착 활성화와 미래 신산업·지역..
실시간 뉴스
8분전
[사설] 대형마트 의무휴업 ‘유통기한’ 다하지 않았나8분전
[사설] '과학축제' 개막, 대전 위상 알릴 호재15분전
씨 없는 포도 ‘델라웨어’ 전국 첫 출하16분전
건강관리협 대전충남지부, 대전 돈보스코의 집 사회공헌 건강검진16분전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하루 앞으로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오피니언
사람들
기획연재
추천기사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