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 |
반대 여론과 불협화음 등 예산확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진통을 겪었지만, 대전의 첫 국가문화기관 유치에 성공하면서 10여 년간 표류하던 역사적 공간의 활용에 마침표가 찍혔다.
다만,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이 대전뿐 아니라 대구와 창원까지 3곳에 추가로 설치되면서 대전만의 경쟁력 있는 작품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전시는 3일 브리핑을 열고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 조성 설계비 10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허태정 시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10년 넘게 옛 충남도청사 활용안 논의가 있었는데, 수장고 설계비 10억 원이 반영됐다"라며 "대전에도 국립현대미술관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은 매우 뜻깊은 일"라고 말했다.
이번 정부 예산에는 옛 도청사의 국립현대미술관 설계 예산과 함께 국민의 힘 최형두 의원(창원·마산·합포)이 제출한 '국립현대미술관 지역 분관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비'(5억 원)와 국민의 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제출한 '옛 경북도청의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연구 용역 예산(5억 원)'도 통과돼 대전과 함께 대구, 창원도 국립현대미술관 시대를 맞게 됐다.
정부는 전국 지자체가 유치 경쟁에 뛰어든 '이건희 기증관'(가칭) 부지가 결국 서울로 결정되면서 성난 민심을 달래기 위해 권역별로 국립현대미술관 건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대전과 대구, 창원 외 추가로 한 곳을 선정할 계획으로, 이렇게 되면 1969년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이래 충청권인 대전, 영남권인 대구, 남부권인 창원, 호남권인 광주 등 전국에 골고루 분관을 갖추는 시대가 열린다.
지역 문화계도 이번 분관이 대전뿐 아니라 권역별로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지역의 문화·경제 낙수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실제로 정부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지역 분관을 추진하며 대전은 과학, 대구는 근대미술, 창원은 해양, 광주는 아시아 등으로 차별화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희성 대전시 지역문화협력위원장은 "지역문화진흥원과 문화관광연구원 같은 핵심기관을 유치해 지역문화와 경제 융성에 시너지를 내야 한다"라며 "시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얼마나 조성하고 개방할지에 초점을 맞춰 기본 실시설계 단계부터 대전시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지역의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류철하 이응노미술관장은 "그동안 대전 원도심에 문화적 구심점이 없었는데, 이번 국립미술관 유치를 계기로 전략적 문화중심지로 도약할 발판이 마련됐다"라며 "청주시도 국현 수장고 건립을 기점으로 시민들의 감상수준과 자부심이 커졌다. 근대도시 대전의 상징적인 건축물에 굵직한 국가문화기관 유치를 늘려 문화도시 면모를 구체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