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랑올랑 새책] 아래로부터의 역사, 다시 읽기

  • 문화
  • 문화/출판

[올랑올랑 새책] 아래로부터의 역사, 다시 읽기

대서양의 무법자, 흔들림없는 역사 인식

  • 승인 2021-12-01 13:53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책2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 대부분은 승자의 역사다. 권력자의 역사이기도 하고, 주류의 역사이기도 하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사는 늘 유럽중심의 역사였으며, 귀족 중심의 정복의 역사다.

하지만 그 시절 민중의 삶은 계속됐고, 육지가 아닌 바다위에서의 시간도 여전히 흘렀다.

그동안 우리가 배웠던 지난 시간을 한 발치 비켜 다른 시각으로 본 두 권의 역사서가 나왔다.



그동안 그저 미학적이고 감성적인 관조의 공간이었던 바다를 역사의 중심으로 놓은 '대서양의 무법자'(마커스 레디커 지음, 박지순 옮김, 갈무리 펴냄, 304쪽)가 유럽 중심의 역사에서 시각을 돌려 혁명과 노예제도의 폐지와 같은 역사적 변곡점이 선원에게 비롯됐다고 주장하고 있다면, '흔들림 없는 역사 인식'은 (다카자네 야스노리 지음, 전은옥 옮김, 삶창 펴냄, 288쪽) 일본의 패망과 함께 묻혀버린 조선인 원폭 피해자에 대한 일본 지식층의 시각에 통해 우리의 역사 역시 주류 중심으로 이뤄져 왔음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들의 생존법, 그들의 역사....대서양의 무법자='대서양의 무법자'는 그동안 해군대장, 상인, 국민 국가의 중심의 육지중심주의 관점이 아닌 선원과 노예, 계약하인, 해적, 그리고 다른 여러 무법자의 시점에서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까지의 해상 모험세계를 담고 있다. 저자 마커스 레이커는 소위 무법자들로 불리는 이 다민족 부대가 미국 혁명의 원동력이자, 노예 해방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그동안 육지 중심의 역사에서 바다는 그저 '텅 빈 공간'이자 '미학적 공간으로서'의 아무것도 없는 공간으로 인식해 왔다면 저자는 런던항의 선원들이 임금삭감에 대한 집단 항의의 표시로 함선에서 함선으로 옮겨 다니며 돛을 내린 것(strike)이 '파업'의 탄생이었으며, 심해 범선의 선원들이 전 세계적 의사소통의 매개체라고 봤다. 또 이 다민족선원이 대서양과 카리브해를 누비며 대서양 전역에서 민주주의와 평등적 사고를 형성하고, 아메리카 혁명과 노예제도의 폐지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말한다.

아래로부터의 역사적 관점에서 세계사를 써나가고 있는 레이커는 선원이 단순히 하급 계층이 아니라 세계 역사의 매개체로 보고, 철학과 정치적 사고, 역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데 초점을 맞췄다.



▲잊혀진 그들....흔들림없는 역사 인식=일본 지식인의 양심으로 한일 과거사를 주장해왔던 다카자네 야스노리의 유고집이 발간됐다. 다카자네는 생전 "일본인 피폭자는 침략 전쟁을 자행한 국가의 국민이라는 입장을 비껴갈수 없지만, 조선인 피폭자는 아무런 전쟁책임도 없는데 원폭 지옥에까지 내던져진 완전한 피해자"라고 말해왔다.

일본의 양심으로 불리는 다카자네는 조선인의 원폭피해는 강제연행으로 인한 결과였음을 거듭 지적하고, 강제연행과 원폭 피해 문제에만 국한하지 않고 조선인 위안부 문제와 일제가 저지른 난징 대학살 등의 일본의 몰역사적인 태도를 비판한다.

2017년 고인이 된 다카자테가 발표한 논문들과 짧은글, 일생의 작업이라 할수 있는 조선인, 중국인 강제 연행 등의 생전 다카자네의 글들을 담았다.

해방후 제대로된 일본 흔적 지우기도 없었지만, 독립운동가나 강제 동원에 대한 조명도 없었던 우리에게 일본인 양심의 울림이 큰 이유다.
오희룡 기자 huily@



*'올랑올랑'은 '가슴이 설레서 두근거린다'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2.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3.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4.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5. 2027년 폐교 대전성천초 '특수학교' 전환 필요 목소리 나와
  1. 충남도 "도내 첫 글로컬대학 건양대 전폭 지원"
  2. 충남도 ‘베트남 경제문화 수도’와 교류 물꼬
  3. '디지털 정보 문해교육 선두주자' 충남평생교육인재육성진흥원, 교육부 장관상 수상
  4. 충남대-하이퐁의약학대학 ‘글로벌센터’ 첫 졸업생 배출
  5. 국내 3대 석유화학산업단지 충남 서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헤드라인 뉴스


국가상징구역 공모 착수…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국가상징구역 공모 착수…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행정수도 세종의 밑그림이 될 '국가상징구역'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대한민국 국가균형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을 포함한 국가상징구역 국제설계 공모착수 소식에 지역사회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세종시(시장 최민호)는 8월 29일 논평을 통해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공모 시작은 대통령 세종집무실 임기 내 완공 첫발을 내디딘 것"이라며 평가하면서 "그동안 시가 조속한 건립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온 데 대한 정부의 호응이자, 행정수도 완성을 향한 확고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혔다. 시는 그간..

예술과 만난 한글…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9월 1일 개막
예술과 만난 한글…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9월 1일 개막

세계 유일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가 9월 1일 한글문화도시 세종시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 세종시(시장 최민호)와 세종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박영국)은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42일간 조치원 1927아트센터, 산일제사 등 조치원 일원에서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그리는 말, 이어진 삶'을 주제로 열리는 한글 비엔날레 기간에는 한글의 가치를 예술, 과학, 기술 등과 접목한 실험적인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한국, 영국, 우루과이, 싱가포르 등 4개국의 39명 작가가 참여해 한글..

특검, 김건희 `영부인 첫` 구속기소… 헌정최초 전직 대통령부부 동시재판
특검, 김건희 '영부인 첫' 구속기소… 헌정최초 전직 대통령부부 동시재판

김건희 여사가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29일 구속기소됐다. 전직 영부인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헌정사상 역대 대통령 부부가 동시에 구속 상태로 재판받는 것도 처음 있는 일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앞서 내란 특검에 구속기소 돼 재판받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특검은 오늘 오전 김건희씨를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이 7월 2일 수사를 개시한 지 59일 만이다. 김 여사에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