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해남에 설치한 유해가스 저감설비. |
올 한 해 기업들의 가장 큰 화두는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 경영이다. 국내 수많은 기업이 ESG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사회와 환경에 기여하고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에 노력 중이다. 특히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위기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문제가 가시화됨에 따라 석탄 채굴 등 투자를 중단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산업군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상품·서비스를 수출할 때 탄소 이동에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세'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EU는 2023년부터 시멘트·철강·비료 등 탄소 배출이 많은 품목에 CBAM을 시범적으로 운영한 후 2025년부터 탄소국경세 본격 시행을 예정이다.
정부 또한 최근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국무회의서 확정했다.
이런 가운데 충북 오송에 있는 (주)위코가 환경오염원을 줄이기 위해 아스콘 발생 유해가스 저감용 흡착시스템을 개발해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전남 해남 금호산업에 아스콘유해가스 저감설비를 설치해 특정대기유해물질을 측정한 결과 30개 물질 모두 법적허용 기준치를 충족할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 받았다
해당 제품은 고효율필터로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다. 또 오염된 부생 가스, 폐수 등의 2차 오염물질 발생도 없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
여기에 재생 아스콘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특허를 확보해 신설설비 없이 재생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 경쟁력 우위를 갖춘 게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권중성 회장은 "아스콘은 신생과 재생으로 구분된다. 말 그대로 신생은 새로운 아스콘이고, 재생은 기존에 있는 아스콘을 걷어내 재활용하는 것"이라며 "재생에서 유해가스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설 설비가 없어도 재생설비를 할 수 있어 폐기물업체에서 우선적으로 설치 요청이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9년 5월 환경부가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 기준을 강화하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 규칙안'을 확정하면서 아스콘 업체들의 유해물질 설비 설치가 불가피해졌다. 다만, 아직 정부와 지자체의 제대로 된 점검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업체들은 환경오염을 외면한 채 뒷짐만 지고 있다.
권 회장은 "서귀포와 울주군 등 아스콘 공장 관련해 인근 주민들의 건강 문제에 대해 많이 지적됐다. 가장 큰 문제는 주민 건강인데 업체들은 민감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며 "정부 또한 지난해 기준으로 배출시설에 대한 자가측정 결과보고서 작성 시 신설된 특정대기유해물질에 대해 측정 결과를 신고하라고 했지만, 제재하지 않다 보니 법만 시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아스콘 물량의 경우 90% 이상이 관급으로 진행한다"며 "지자체가 먼저 나서 대기오염물질저감설비를 설치한 업체에 우선으로 한다면 필요성을 느껴 환경 저감에 동참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