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구 생태계를 살리려면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기수역(汽水域)의 복원이 전제돼야 한다. 그리고 그 방법은 하굿둑을 열어 하구 수질 악화를 막는 것이다. 하굿둑은 원래 농·공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 염해 방지를 목적으로 건설했다. 해수 유통을 하려면 상수·농업용수 취수구 이전 등 중·상류 오염원 관리 대안이 요구되는 건 그래서다. 취수시설을 상류로 이전하는 등 선결과제를 풀어야 한다.
이에 대한 답은 낙동강 사례를 통해 어느 정도 나와 있다. 즉, 유량과 개방 시간을 조절해 해수 역류를 일정 지점 밑으로 제한하는 방식이다. 이날 나주 토론회에서 제시한 염분 침투 모델 시나리오 분석과 전자센서 갑문 조절 방안도 낯설지 않다. 하굿둑 갑문 부분 개방을 하고 단계적 해수 유통 범위를 넓힌다는 충남도의 계획과 일맥상통한다. 이를 위해서는 독일 등 일부 선진국의 역간척과 하구역(河口域) 복원까지 참고 삼을 만하다. 문제 소지를 줄이고 해수 유통의 실익을 키운다면 복원의 미래는 결코 어둡지 않다.
지금 전북도의회 일각에서 금강 하굿둑과 관련된 충남도의회 요구를 가치 없다고 일축하고 있는 데서 보듯이 인접 지자체 간 이해관계 일치는 또 다른 과제다. 금강을 사이에 두고 신경전을 벌이는 충남과 전북, 서천과 군산이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을 갖고 하구 자연성을 회복시켰을 때는 실보다 득이 훨씬 많다. 충남은 전북과 이견을 해소하고 전남과 협조하면서 금강·영산강 하굿둑 개방을 같이 추진해야 한다. 강물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역의 생태환경 복원은 대선 공약과 국정과제로 채택해야 할 국가적 사안이기도 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