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코로나19로 지역민 문화예술소비심리 위축...지역 간 문화 격차도 여전해

  • 문화
  • 문화 일반

[데이터 in 충청] 코로나19로 지역민 문화예술소비심리 위축...지역 간 문화 격차도 여전해

8월 문화관광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 2019년 동월 대비 29.4% 감소
올해 상반기 공연,예매 건수도 절반 가까이 감소해
문화시설, 공연예술 행사 등 수도권 쏠림 현상 나타나
대전,문화소외계층 지원 많지만 문화 다양성 의식 부족

  • 승인 2021-10-18 16:22
  • 수정 2021-10-18 21:33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컷-데이터인충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지역의 문화예술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균형이 문재인 정부의 국정 과제로 추진되고 있지만, 여전히 수도권과 지역의 문화 향유 격차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문화비지출
그래픽=한세화 기자
▲코로나 19로 지역민 문화생활 감소=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2021년 코로나19의 문화·관광·콘텐츠 영향'에 따르면 지난 8월 충청권의 관광·콘텐츠·문화예술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은 은 대전 434억 원, 세종 176억 원, 충남 1226억 원, 충북 1187억 원으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지난 2019년 동월보다 대전은 39.3%(715억 원) 충남 9.9%(1360억 원) 충북 1.1%(1200억 원)각각 감소했다.

국회 세종의사당 설립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세종만 유일하게 5,9%(166억 원)로 증감했다. 전국적으로 관광·콘텐츠·문화예술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은 3조 3896억 원으로 지난 2019년 동기(4조 7984억 원) 대비 29.4% 감소했다.

데이터-영화
그래픽=한세화 기자
영화 관람 관객 수와 매출액도 줄었다. 지난 9월 넷째 주 지역별 관객 수는 대전은 5만 4563명, 세종 8910명, 충남 5만 2379명, 충북 4만 4214명이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대전 34.2%(8만 2938명), 세종 17.1% (1만 0746명), 충남 33.3% (7만 8585명) 충북 32.7% (6만 5702명) 감소한 수치다.



전국 영화 관람객은 152만 6109명이다. 이는 2019년 동월 대비 38.9%(249만 8737명) 감소한 수치다. 전체 영화 매출액은 149억 9517만 원으로 2019년 동기 대비 24.5%(198억 6372억 원) 감소했다.

데이터-공연수
그래픽=한세화 기자

공연예술 분야도 마찬가지다. 공연예술전산망(KOPIS)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공연 건수는 대전 163건, 세종 12건, 충남 95건, 충북 19건으로 지난 2019년 하반기보다 대전 49.5% (324건) 세종 60% (30건) 충남 58.1% (227건) 충북 72% (68건) 감소했다. 예매 수는 대전 3만 1582건, 세종 1831건, 충남 2만 3251건, 충북 8564건이다. 2019년 하반기에 비해 대전은 75%(12만 6508건), 세종 79.4%(8,925건), 충남 76.6%(9만 9389건), 충북 72.4% (3만1101건)으로 대폭 줄었다. 전국적으로도 상반기 전국 공연 건수는 3827건으로 지난 2019년 하반기 6747건에 비해 공연 건수가 절반 가까이 줄었으며 예매 수도 올 상반기 256만 3197건으로 2019년 하반기(627만 8463건)보다 59.1%로 반 이상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 수도권 문화 쏠림 현상 여전=지역민들의 문화 활동이 위축된 가운데 수도권과 지역 간 문화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9년 문화예술정책백서' 전국 문화기반시설 현황에 따르면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등 전국 문화시설 2825개소 중 수도권(1040개소)에 절반 가까이 밀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399개소, 인천 104개소, 경기 537개소며 이에 반해 대전·세종·충청권은 대전 55개소, 세종 19개소, 충남 166개소, 충북 130개소로 적었다. 대전은 인구수가 비슷한 광주(63개소)보다도 12% 정도 문화시설이 더 적었다.

문화 격차는 '지역 대표 공연예술제' 사업에 선정된 지역별 행사 수와 지원액에서도 드러난다. 각 지역의 특성화된 공연예술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 중인 74개의 문체부 지역대표 공연예술제 사업의 경우 수도권이 26개(서울 17개, 인천 1개 경기 8개) 행사를 지원받는 반면, 대전·세종·충청권의 경우 대전 6개, 세종 0개, 충남, 5개, 충북 1개 총 12개의 행사가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이 전체 예산 91억 9500만 원을 지원 가운데 28억 600만 원을 지원받는 반면, 대전, 충청권은 11억 1500만 원에 불과하다.

▲ 문화 다양성 보호 의식은 떨어져= 문화다양성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도 충청권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부산, 광주, 제주, 경기도, 충북, 익산, 세종 등 13개 시·도가 문화 다양성 조례를 제정한 가운데 대전은 제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2019년에 대전 시의회에서 조례 제정이 시도됐지만, 종교단체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문화예술 교육과 생활 문화 동아리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한다. 지역의 한 문화 정책 전문가는 "문화예술 교육의 지향점은 단순히 특정 장르 기술을 가르치는 게 아닌 문화예술 창작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을 스스로 누릴 수 있는 감수성을 길러내는 것"이라며 "생활문화 또한 기능 중심의 장르 활동이 아닌 지역 주민들이 동아리를 만들어 문화 생산자가 되는 마을 공동체 사업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과 생활문화 동아리 활동이 일상화되면 문화 소외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공동체간의 멤버십이 자연히 형성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2년 동안 코로나19 방역으로 지역민들의 생활문화 동아리나 문화교육 등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며 "공연장 등 문화시설에선 집단 감염 사례가 나오고 있지 않은 만큼 문화시설을 무조건 통제하기보단 안전과 통제 기능을 확보한 공공문화시설은 단계적으로 개방하는 시도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3.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