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150만 대전 인구 무너진 2019년, 지역내총생산 12년 사이 20조 올랐다

  • 정치/행정
  • 대전

[데이터 in 충청] 150만 대전 인구 무너진 2019년, 지역내총생산 12년 사이 20조 올랐다

2007년, 2019년 대전 성장통계 살펴보니…
2007년 황금돼지해 효과로 출생아 수 1만5705명
총예산 2019년 8조1267억원, 전년보다 14% 올라
공공도서관 16곳에서 26곳으로, 자료수는 2배 ↑

  • 승인 2021-10-16 02:33
  • 수정 2021-10-30 16:39
  • 신문게재 2021-10-19 6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도시가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는 단순히 인구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교육과 문화, 환경과 교통, 복지 등 여러 분야에서 고른 발전을 이뤄야 질적인 성장과 도시의 면모를 갖췄다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가 해마다 발표하는 '성장통계'를 살펴보면 행정은 물론 도시의 변화가 눈에 보인다. 2007년과 2019년, 12년 사이 대전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111
그래픽=한세화 기자
2007년 대전시의 행정구역은 5개 구 81개 동 2627개 통, 1만3674개 반이다. 1989년 직할시 출범 당시 76개 행정동에서 대전광역시로 명칭 변경 후 1997년 87개 행정동으로 확대했으나 주요 동을 통·폐합하면서 81개 동으로 소폭 줄었다.

2019년 행정동은 79개, 2580개 통, 1만4517개 반으로 변화했다. 행정과 통은 12년 사이 감소했지만, 반은 늘어났다. 자치구를 구성하는 가장 큰 단위 동은 통합으로 묶였으나 통은 반대로 세분한 것으로 확인된다.



2007년 당시 대전시는 7대 도시 중 평균 인구증가율이 가장 높은 도시였다. 당시 12월 말 인구는 148만7836명으로 최근 5년 사이 인구증가율이 0.9%였다. 당시 황금돼지해 효과로 출생아 수는 1만5705명으로 1일 평균 43명이었다. 대전은 1995년 2만1574명으로 출생아 수 정점을 찍은 후 2000년 밀레니엄 베이비 붐으로 1만9402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줄곧 감소세를 보였다.

2019년 인구는 149만973명이었는데, 전국 인구의 2.8%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그러나 150만 대전시 인구 선이 무너진 해였다. 12년 만에 출생아 수도 반토막 났다. 2019년 8410명 1일 평균 23명이다. 연평균 출생아 수 2만 명이 무너진 건 1998년, 1만 명 선이 무너진 때는 2018년부터다. 출생아 감소는 결혼과도 연결되는데, 2007년 혼인은 쌍춘년 효과로 증가세를 보여 그해 9684건, 1일 평균 27건이다. 그러나 2019년은 이보다 크게 줄어 연 6602건에 불과했고 1일 평균도 18.1건으로 줄었다.

도시가 커지고 복합적인 발전이 이뤄질수록 대전시의 총예산 규모도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12년 사이 예산은 무려 5조 원 증액됐다. 5개 자치구 예산을 포함해 2007년 총예산은 3조9801억 원, 2019년은 8조1267억 원이었다. 지난해보다 각각 17.2%, 14% 증가한 규모로 굵직한 현안 사업은 물론 시민 삶과 직결되는 예산 투입이 늘었다는 증거다.

222
그래픽=한세화 기자
지역 내 총생산을 뜻하는 GRDP 규모는 2007년에 비해 2019년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2007년에는 20조5852억 원으로 전국 912조 원의 2.3%였는데, 2019년은 42조7943억 원으로 전국 1923조7774억 원의 2.2% 규모였다. 1인당 GRDP는 각각 1384만7000원, 2836만4000원으로 2배 증가했다.

12년 사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분야의 변화도 감지됐다.

도시가스 수용 가구는 2007년 43만2345가구에 불과했고, 판매량은 54만7417㎡였으나 20119년은 도시가스 수용가구 60만4211가구로 늘었고 판매량은 73만4613㎡로 증가했다. 공공도서관은 2007년 16곳에서 12년 만에 26곳으로 늘었는데, 도서관 자료 수는 178만3607권에서 324만1400권으로 2배가량 늘었다. 연간 이용자는 각각 600만 명, 732만 명으로 자료 수가 늘어난 만큼 이용자 수도 증가했음을 엿볼 수 있다.

복지 분야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는 2007년 2만3193가구 4만6490명이다. 2019년은 4만1803가구, 수급자는 6만9317명이다. 이는 단순히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 증가가 아니라 수급자가 들어올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하면서 복지혜택을 늘렸기 때문이다. 정부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계속 완화하고 있다. 교육급여와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은 없앴고, 대전시는 10월 1일부터는 생계급여는 조건부로 고소득자만 제외해 사각지대의 복지 영역을 늘려가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성장통계는 성장추세를 10년 단위로 보는 것으로 대전의 순차적인 변화와 발전을 엿볼 수 있다. 1995년부터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7차 지역정책포럼
  1.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2.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3.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4.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5.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