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존버(존나 버티다), 넌씨눈(넌 씨발 눈치도 없냐)"
직장인 한우영(30) 씨는 인터넷 커뮤니티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속속 쓰이는 신조어 줄임말에 혼돈을 느낄 때가 많다. 은어로만 생각했다가 검색을 해본 그는 비속어가 담긴 줄임말에 한숨을 내쉬었다. 한 씨는 "대부분 줄임말로 이어지는 신조어가 10~20대가 쓰는 용어인데, 욕까지 아무렇게 쓰면 학생한테도 안 좋고 듣기도 거북하다"며 "비속어 줄이는 것도 말이 안 되지만, 신조어를 검색하는 나를 보면서 소외감을 느끼는 것도 답답하다"고 말했다.
제575돌 한글날을 맞았지만, 일상생활에서 한글 줄임말과 신조어 사용이 늘고 있어 올바른 언어 사용 필요성이 제기된다.
10대~20대 사이에서 신조어와 줄임말이 남발되고 있는데, 우후죽순 줄임말이 생겨나 '별다줄(별걸 다 줄인다)'이란 신조어까지 나올 정도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인터넷 메신저에서 'ㅇㅋ(오케이)', 'ㄴㄴ(아니다)' 등 모음이 빠진 자음으로만 언어를 표현하는 것은 일상어가 됐다.
코로나19 상황에도 한글의 줄임말과 신조어는 계속됐다. '결송합니다(결혼해서 죄송합니다)', '마기꾼(마스크+사기꾼, 마스크를 벗었을 때와 착용했을 때 상상한 얼굴이 다를 때 사용하는 말)' 등 꾸준했다.
이 같은 신조어는 한글을 파괴할 뿐 아니라 세대 차이 갈등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또 신조어가 일상에서 속속 사용되는 만큼, 학생들의 잘못된 언어습관으로 이어지지 않겠느냐는 목소리도 있다.
온라인설문조사업체 두잇서베이가 회원 38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신조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진 응답자가 전체의 64.8%에 달했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신조어 사용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로는 '신조어가 한글을 파괴한다고 생각해서'(39.8%), '세대차이가 생기기 때문'(22.3%), '신조어를 이해하지 못해서'(17.1%) 순이었다.
이에 대해 올바른 우리말 사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백승호 한남대 한국어교육원장(국문과 교수)은 "무분별한 신조어 사용은 세대간, 집단 간 소통을 저해할 수 있다"며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올바른 우리말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