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나 디지털팀 기자 |
우리나라에서 2018년 전례 없는 폭염이, 올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기록적인 가뭄과 산불 등 기후재난도 갈수록 더 자주 더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올해 사이언스지에는 2020년에 태어난 아이는 1960년 출생자보다 7배 많은 폭염을, 현재 60세인 사람보다 두 배 많은 가뭄과 산불, 세 배 많은 홍수와 흉작을 경험할 것이라는 연구가 실렸다.
앞으로 살아갈 세상도 걱정되지만, 나보다 더 어린 아이들을 보면 마음이 아파지는 이유이다.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지구의 연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에 비해 1.5도가 오르면 이른바 지구가 걷잡을 수 없이 무너져 버리는 임계점에 도달한다고 발표했다.
더 비관적인 사실은 이미 1.1도 올랐으며 IPCC가 3년 전엔 이 임계점이 오는 시기를 2052년으로 예측했다가 최근 2040년으로 앞당겼다는 점이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상위 20개 기업이 한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 이상(58%)에 이르고 청년기후긴급행동은 탄소오적으로 삼성물산, 하나은행, 수출입은행, 한국전력, 두산중공업을 지목했다.
또한 국제구호기구 옥스팜에 따르면, 전 세계 상위 10% 소득 계층은 온실가스를 다량으로 배출하는 항공·SUV 자동차와 낭비적 과시적 소비로, 소비기반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략 50%를 차지한다고 한다.
반면 하위 50% 계층은 10%만 배출한다.
즉, 선진국와 부자들이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만 개도국과 기후난민, 농민, 쪽방촌 노인 등 가난한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세계 각국에선 탄소세를 도입하고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에 투자를 중단하는 등의 액션을 취하고 있어 환경파괴 산업은 경쟁력도 떨어지고 있지만 국가와 기업의 대응은은 안일하다.
텀블러 쓰기 등 개인의 '작은 실천'을 강조하며 입으로는 탄소중립을 외치지만 석탄발전소·신공항을 짓는 등 환경을 파괴하고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고 있다.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선 '기후정의'가 시급한 이유다.
지구의 임계점인 1.5도가 도달한다는 2040년이면 나는 46살, 초등학교와 유치원에 다니는 조카는 2030대이다.
갑작스런 산불로 우리 동네가 불탈 수도 있는 기후위기 시대에 미래를 꿈꾸는 것마저도 사치로 느껴진다.
우리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