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in, 문화人] "전국서 우리공연 보러 대전 오게 할 것"

  • 문화
  • 문화 일반

[문화in, 문화人] "전국서 우리공연 보러 대전 오게 할 것"

  • 승인 2021-09-30 16:13
  • 수정 2021-10-01 23:21
  • 신문게재 2021-10-01 8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문화인



클래식 전공자들로 구성된 로페스타집시밴드..4년 전 밴드 결성
스페니쉬 플라멩코와 프렌치 집시 재즈 결합한 퓨전음악 다뤄


20210928_105828
로페스타집시밴드, 출처 : 로페스타집시밴드 SNS

'로페스타 집시밴드'는 딱딱한 정통 클래식에 플라멩고와 재즈를 결합한 지역에선 몇 안되는 인스트루멘탈밴드다.

'집시들의 축제'라는 뜻을 가진 '로페스타 집시밴드'는 기타를 맡고있는 리더 홍이삭 씨를 필두로 비브라폰 김광섭, 베이스기타 최형준, 기타 남유찬, 바이올린 유종훈, 트럼펫 심한, 클라리넷 백준규, 타악기 하종혁 씨로 구성돼 있다.



대학 연주 발표 수업시간에 선보일 곡을 선후배끼리 논의하다 4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밴드를 만들어 활동하기 시작했다. 멤버 모두 클래식을 전공해, 밴드 결성 후에는 클래식과 실용음악 사이에서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리더 홍씨의 제안으로 스페니쉬 플라멩코와 프렌치 집시재즈를 접목한 클래식 음악을 선택했다.

 

 

 



애절하면서도 강렬한 멜로디가 특징인 '로페스타 집시밴드'의 대표곡은 '로마니(Romani)', '오렌지 스카이 하이웨이(Orange Sky Highway)'다.

홍이삭 씨는 "클래식 악기로 강렬하고 대중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장르를 고민했다"며 "집시 음악이 기타를 이용하고 경쾌하면서도 애절한 느낌이 있다 보니 우리나라 정서와 잘 맞고 제 취향과도 맞아 공부해보고 연주해보면 어떨까 싶어 택하게 됐다"고 말했다.

 

 

 

 

20210928_105759
로페스타집시밴드 공연 모습

 

코로나19는 관객들과 호흡할 수 있는 무대는 많이 없어졌지만, 오히려 이들이 더 단단해지는 계기도 됐다.

비대면 온라인 공연이 주를 이루면서 직관적이고 격렬했던 음악은 관객과의 교감에 더 무게를 뒀다.

홍이삭씨는 "이전에는 라이브를 위한 강렬하고 격렬한 곡이 주였다면 지금은 멜로디와 분위기를 어떻게 화면 너머로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 중"이라며 "저희 연주 포인트는 연주 합이 잘 맞을 때라고 생각해 작곡할 때도 합주할 때 킬링포인트를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로페스타집시밴드의 음악에서 매력적인 점은 강렬한 멜로디 사이에서 흘러나오는 몽환적인 비브라폰의 소리다. 최근에는 바이올린 전공자를 새로운 멤버로 영입했다. 최 씨는 "그동안 저희 팀에 높은 음역대를 담당하는 포지션이 없었다"며 "카리스마 있게 찔러줄 포인트가 필요했고 우리 음악의 음역대를 넓여줄 수 있는 악기로 바이올린이 적합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서 멤버들은 "전국 사람들이 팀의 공연을 보러 대전에 올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 홍 씨는 "우리를 표현할 수 있는 음악을 찾는 것에 재미를 느끼고 있다"며 "조만간 음반이 나올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한다"고 전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