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실하(60·禹實夏)한국항공대학교 인문자연학부 교수가 1989년 8월부터 2001년 11월까지 서울 중심가에서 '가온누리' 전통찻집을 열었다. 우 교수는 10여년 동안 찻집에서 모두 265회가량 '가온누리 국악마당'을 열었다. 국악 무대에 선 국악인들은 현재 우리나라 국악계를 이끌어가고 있다.<우실하 교수 제공> |
그러나 그 중심 한 켠에선 우리나라 '전통 음악'이 대중들과 호흡하고 있었다. 당시 서울 중심가의 사치스러운 유흥문화 속에서 '국악의 현대화·대중화·전문화'가 조금씩 꽃을 피우기 시작한 것이다. 서울 중심가의 두 얼굴이자, 20대 젊은이들의 상반된 생활이다.
31살 젊은 남성은 1989년 한 여름, 서울 중심가인 연세대학교 앞에서 전통찻집을 열었다. 바로 '가온누리' 전통찻집이다. 지하에 위치한 이 찻집은 45평(148㎡) 크기다. 당시 서울 중심가의 화려한 풍경을 감안하면 매우 정적이고, 차분한 찻집이다. 찻집 한 켠에선 작은 무대가 마련됐다. 북과 꽹과리, 장구 등 국악기가 무대에 놓여져 있었고, 무대는 찻집을 멋스럽게 했다. 차를 마시러 온 일부 손님들은 찻집 무대에 올라 국악기를 만져보고, 두드려보기도 했다. 평범하게 운영됐던 찻집은 어느 순간 명소가 됐다. 또 찻집 안의 작은 무대는 전국 최고의 큰 무대로 변했다. 당시, 국악인들 사이에서는 '이 무대에 오르지 못하면 명인·명창이 될 수 없다'는 말까지 있었다. 이 찻집 무대가 국악인들의 등용문 (登龍門)과 같았다는 얘기다.
국악인들이 1999년 8월 서울 가온누리 찻집에서 연주하고 있다. <우실하 교수 제공> |
그리고 개업, 2개월 후 대 반전이 일어났다. 당시 우리나라 최고의 국악 단체인 국립극장 국립창극단 소속 왕기석·김학용 명창이 이곳을 찾았던 것이다. 단순하게 차 한잔 마시러 온 두 명창은 찻집에 반했다. 왕 명창은 당시 "저 무대에 누가 공연을 합니까"라고 물었고, 우 교수는 "공연까지 생각은 있지만, 아직 엄두를 못 내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어 왕 명창과 김 명창은 "우리가 다음에 공연을 해도 좋습니까"라고 물었고, 우 교수는 "언제든지 환영한다"고 답했다. 작지만 큰 무대의 시작이다.
그리고 1989년 10월 4일 오후 6시 국립창극단의 왕 명창과 김 명창이 이 찻집 '가온누리 국악마당'의 첫 무대를 열었다. 그들의 첫 무대는 제1회 무대다. 두 명의 명창은 1회 공연 때, 단가 사철가와 판소리 심청가·흥보가 중 눈 대목을 불렀다.
왕기석(가온누리 제1회 무대)국립민속국악원 원장은 "30여년 전, 김학용 명창과 차를 마시러 갔다가 찻집 분위기가 좋아서 판소리 심청가의 한 대목을 했다"며 "수백 회까지 이어져 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 1회 공연자여서 영광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실하) 선생님 때문에 옛 기억을 떠올릴 수 있어서 감회가 새롭다"며 "그는 국악 전공자는 아니지만, 국악 전공자보다 더 국악을 사랑했던 분으로 기억한다"고 덧붙였다.
첫 무대 이후, 왕 명창과 김 명창은 2차례 더 공연을 이어갔다. 두 명창은 1~3회까지 대중들과 판소리로 소통했다.
두 명창의 판소리 공연은 국악계로 순식간에 퍼졌다. 우 교수는 두 달에 한번 열던 공연을 한 달에 한번으로 확대했다. 무대는 서서히 자리를 잡아갔다. 공연은 한 달에 한번에서 월 2회로, 나중에는 매주 금요일마다 정기적으로 공연을 펼쳤다. '가온누리 국악마당'이라는 정식 명칭으로 말이다. 이 무대를 거쳐 간 명인·명창도 상당수다. 현재 국악계에서 내로라 하는 명인·명창들이 젊은 시절, 이 무대에 선 것이다.
사물놀이 팀이 1999년 서울 가온누리 찻집에서 연주하고 있다.<우실하 교수 제공> |
우 교수는 공연자들의 기록을 모두 남겼다. 누가, 언제, 어떤 곡으로 연주를 했는지 등을 카세트 테이프로 녹음을 해 놨다. 기록은 1989년 초기 몇 해를 제외하고는 1999년 8월 13일까지 모두 265회나 된다. 우 교수는 2000년 2월 중국 심양시 요녕대학교 한국학과 교수로 떠나기 전까지 기록이다.
우 교수는 "가온누리 국악마당에서 공연한 명인명창들의 기록과 음성 녹음 등을 모두 남겨놨다"며 "현재 우리나라 국악계를 이끌고 있는 그들이지만, 젊었을 때 음성(공연내용)을 공개하면 감회가 새로울 것"이라고 크게 웃었다. 그는 또 "당시 오렌지족 등 어수선한 서울 중심부에서 우리 전통음악의 맥을 이어 온 그들에게 진심으로 존경스럽다"고 강조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