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리포트2021-인식조사] ③대전역 성매매집결지 폐쇄 후에는 공원과 휴식 공간으로

[도시재생리포트2021-인식조사] ③대전역 성매매집결지 폐쇄 후에는 공원과 휴식 공간으로

  • 승인 2021-09-09 16:16
  • 수정 2021-09-28 10:02
  • 신문게재 2021-09-10 3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컷-도시재생

 

 

 

타시도 업소 매입후 예술 공간과 공원 등 활용

성매매집결지 지속 원인은 꾸준히 방문객 꼽아

 

 

전숙희 대전여성단체연합 대표는 대전역 성매매 집결지를 두고 '100년의 숙제'라고 말한다. 오랫동안 우리 사회는 집결지와 관련해 오롯이 종사자인 여성들만 비난하고 혐오의 대상으로 여겼다. 이는 문제적 공간에서 업주와 청객이 여성 종사자를 앞세워 착취하는 행태가 드러나지 않았던 문제기도 하다. 그러면서 100년이 흘렀고, 완전 폐쇄는 그저 말뿐인 구호에 불과했기에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는 주장이다.

응답자들은 성매매 집결지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로는 '계속 방문하는 소비자', '방관하는 정부', '미미한 행정과 경찰 단속', '버티는 업주' 등의 순으로 원인을 꼽았다. 

 

BOX2-1
그래프=한세화 기자
계속 방문하는 소비자 때문이라는 응답에서 여성은 45.8%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지만, 남성들은 27.4%에 불과했다. 명확한 원인을 꼽지 못한 기타 의견에서 남성은 25.8%, 여성은 7.9%로 대비되는 응답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불법시설을 방관하는 정부 때문이라는 항목에서는 남성과 여성 18.5%와 19.4%로 비슷했고, 행정과 경찰 단속이 미미하다는 응답 결과도 남녀 14.1%와 14.6%로 집계됐다. 버티는 업주 때문이라는 응답은 남성이 14.1%, 여성이 12.3%였다.

성매매 집결지를 폐쇄한다면 어떤 공간으로 변화했으면 좋겠느냐는 물음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응답자들은 공원과 휴식시설로 활용하자는 의견에 전체 39.5%가 쏠렸다. 경제시설로 활용하자는 19.9%였고, 체육 또는 교육시설이 13.8%, 피해여성 보호쉼터는 10.2%였다.

대전역세권의 경우 시민들이 쉽게 방문하고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공원과 휴식 공간을 압도적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남성과 여성 그리고 전 연령대에서 공원과 휴식시설 활용안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나, 피해여성 보호쉼터로 활용하자는 항목에서는 남성 6.9%, 여성 13.5%로 약 두 배 차이가 났다. 연령별에서도 20대 4.5%, 50대 6%로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BOX2-2
그래프=한세화 기자
전북 전주 선미촌의 경우 유리방 형태의 집결지를 예술가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리빙랩 사업으로 전환했고 현재 7개 업소를 활용하고 있다. 또 업소를 매입해 거점 공간을 바꿨고, 국가공모 사업으로 지원이 가능한 예술마을을 형성하는 것에 힘쓰고 있다.

김경희 대전시 성인지정책담당관은 "이 지역이 여성의 아픔을 간직한 공간으로 인식해야 한다. 집결지는 흔적이 지워지기 쉬운 공간이기 때문에 어떻게 이 역사를 아카이빙할 것인가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2004년에 제정한 성매매방지법에 대해서는 '안다'라고 답변한 시민은 52%, '들어봤다'는 25%, '모른다'는 20.8%, '관심 없다'는 1.5%로 집계됐다. 성매매방지법을 안다고 한 응답자 중 여성이 61.1%로, 남성 41.9%보다 1.5배 더 높았다.

성매매 집결지 인식 관련 여론조사는 중도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주)제이비플러스에 의뢰해 9월 4일부터 6일까지 대전시민 중 성인 남녀 51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해미·이현제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작성됐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