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in, 문화人] 인터뮤직 대표 유수빈, 지역의 숨겨진 원석 찾아 어엿한 뮤지션으로

[문화in, 문화人] 인터뮤직 대표 유수빈, 지역의 숨겨진 원석 찾아 어엿한 뮤지션으로

  • 승인 2021-09-16 10:42
  • 수정 2021-09-23 16:12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컷-문화인

 

 

 

작곡가이자 음악감독인 유수빈 씨는 지역의 젊은 뮤지션들이 자생력을 갖고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을 매일 고민한다. 그는 대전에서 '인터뮤직'이라는 공연 기획사를 운영해 재능이 있는 지역 뮤지션을 발굴하고 지원한다. 청년 뮤지션이 지역에서도 마음껏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IMG_2652
인터뮤직 유수빈 대표 모습
인터뮤직은 유 씨가 한국영상대 겸임교수 시절 제자들을 위하는 마음으로 설립한 곳이다. 수도권에 비해 지역의 젊은 뮤지션들은 무대에 설 기회가 적다는 걸 알게 된 그는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하기 시작했다. 그는 "당시만 해도 대전·충남지역에는 음악창작소나 청춘마이크 같은 프로그램이 별로 없어 서울로 가는 친구들이 많았다"며 "제자들이 어떻게 하면 무대에 설 수 있는지 고민하다가 만든 곳이 인터뮤직"이라고 소개했다.

IMG_2703
소속뮤지션 공연 사진

2015년에 시작해 어느덧 운영한 지 6년이 된 인터뮤직에는 싱어송라이터, 알앤비, 국악, 발라드, 비트메이킹 등 다양한 장르의 7명 아티스트가 소속돼 있다.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을 케어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그는 "작곡가와 음악감독으로서 여러 장르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다 보니 다양한 장르를 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유 씨가 음반제작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소속 아티스트들의 기획자이자 음반제작자. 스타일리스트, 홍보담당자다. 힘들지 않냐는 질문에 그는 "혼자서 하기 벅찰 때도 읶지만 소속 아티스트 중에는 절벽 끝에 있던 친구들도 많았다" "이 친구들에 대한 책임감으로 밤잠도 줄이고 일한다. 소속 아티스트들이 내는 결과물을 보는 재미도 있다"고 말했다.

 

'인터뮤직홀'이라는 소속 뮤지션들을 위한 공연장도 운영한다. 코로나19 전에는 소속 아티스트들과 정기적으로 기획 공연을 했다. 그는 "소속 뮤지션들이 무대 경험을 많이 쌓게 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었다"며 "지난번에는 소속 아티스트들과 블랙데이 기념으로 같이 짜장면을 먹으면서 공연을 보는 b급 공연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음악감독으로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그는 주로 지역 연극과 뮤지컬의 배경 음악들을 제작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전에서 진행한 유니브연극제 출품작인 '알고리즘' 작품에 참여했고 극단 실루엣의 연극 '카사블랑카여 다시 한번' 곡 작업도 진행했다.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 그는 솔직하게 "돈을 많이 벌고 싶다"고 말했다. 소속 뮤지션들이 잘 살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에서다. 그는 "이 친구들에게 영업을 뛰거나 돈을 버는 일은 내가 할테니 너네는 음악만 하라고 당당하게 말하고 싶다"며 "소속 뮤지션들이 성실하게 음악하고 있는 만큼 잘 컸으면 좋겠다" "앞으로도 이 친구들에게 든든한 대표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