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의 중심인 대전 중동일대의 한의약, 인쇄골목이 재개발 사업으로 존폐위기에 놓이는가 하면, 원도심 한복거리, 공구거리 등 수많은 특화거리가 흉물로 전락하며 소멸의 길을 걷고 있다.
31일 대전시와 5개 구청에 따르면 2021년 현재 대전의 특화거리는 15개 1700개 점포가 지정, 운영중이다.
지난 1997년 1월 외환위기 이후 경기 부흥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각 지자체가 앞다퉈 지정한 특화거리는 한 때 대전에서만 24곳에 이르렀지만 상권 쇠퇴와 재개발
로 철거 위기에 놓였다.
대전역 지근거리에 있어 한때 대전의 중심이자 원도심의 구심점 역할을 했던 한의약특화거리와 인쇄거리는 재생, 재개발 사업에 포함되면서 오히려 터전을 잃게 됐다.
지난 1월부터 300억을 투입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포함된 한의약 거리는 지난 5월 중소벤처기업부의 2021년 지역연고산업 육성사업에 '한의약특화거리 기반 K-힐링상품 개발·활성화사업'이 선정되면서 기대감을 높였지만 오히려 상인 반응은 싸늘하다.
지난 2013년 50억원을 투입해 추진한 동구 한의약·인쇄골목 재생사업이 부실 시공으로 논란을 겪으며 실패로 끝났지만 이번 사업 역시 개발에만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서울, 대구와 함께 전국 3대 인쇄거리로 손꼽히는 대전 인쇄골목역시 재개발사업으로 존폐위기에 놓였다.
인근 삼성동이 재개발과 재건축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동구청이 재개발 기간 동안 임시상가를 제공하기로 했지만 정밀한 인쇄기계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는 탁상행정이란 비판을 받고 있다.
동구 원동에 위치한 한복 거리 역시 주차타워와 쇼핑몰이 들어섰지만 오히려 쇠퇴기로를 걷고 있다.
한때 대전을 대표했던 오정동 산업용재특화거리상가(공구거리)도 BRT도로 설치와 함께 급격히 무너졌다.
대전 유성구 유성 5일장. |
특화거리의 경우 법적 근거나 별도의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전통 시장 같은 체계적 지원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상권이 둔산과 도안, 유성 등 신도심으로 넘어간데다 온라인 쇼핑이 발달되면서 재개발 등으로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단순히 개발 논리로 특화거리를 대할 것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시각에서 특화거리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한다.
대전 동구 한약방거리의 한 한의원. |
이광진 대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기획위원장은 "재개발·재생사업이 부동산 가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같다"며 "삶의 공간과 주거공간이 같이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유나 기자
대전 동구 인쇄거리의 한 인쇄소.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