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매 집결지 폐쇄는 아주 오랜 싸움이다. 공창제(公娼制)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잔재면서 법 앞에서도 무력화되지 않았던 우리 사회의 허물이다. 대전역세권처럼 여인숙 형태의 성매매 집결지는 그 세계에서는 '끝'을 의미한다. 평균 연령 50~60대의 종사자들이 '탈업(脫業)'하지 못해 끝내 다시 돌아오는 곳, 벗어날 수 없는 족쇄를 스스로 채우는 지옥도와 같다는 의미다.
사진=중도일보 DB |
'성매매, 상식의 블랙홀'의 저자 신박진영 작가와 대전여민회 박이경수 사무국장은 성매매 집결지 폐쇄를 줄곧 외쳐온 활동가다. 그들이 봤던 끝의 세계는 '인권 유린의 현장'이었다. 그렇기에 하루빨리 지역사회의 힘으로 견고하게 철옹성을 유지해왔던 음지의 벽을 무너뜨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성매매, 상식의 블랙홀의 저자 신박진영. |
신박진영 작가는 "자갈마당 폐쇄는 나조차도 될까 싶었던 큰 현안이었다. 그러나 선출직 시장의 의지와 실무 부서가 모두가 움직이니까 가능했다"라며 "지자체의 의지, 폐쇄-정비-시민 공간 재탄생이라는 비전, 성매매 집결지를 용납할 수 없다는 시민사회의 여론 형성이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갈마당의 경우 성매매 여성 90명이 자활 지원을 신청하며 성공적 사례로 꼽힌다. 그 후 타 지역에서도 폐쇄와 자활 대안을 마련하며 집결지 폐쇄가 진행 중이다. 세금을 투입해 성매매 여성의 자활 비용을 지원한다는 것에 찬반 논란은 여전하다. 그러나 문제적 공간을 만든 사회적 책임 비용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14년 동안 성매매 집결지 현장활동가였던 박이경수 대전여민회 사무국장. |
성매매 여성들을 만났던 활동가들에 따르면 여성들도 그곳에서 벗어나고 싶어 한다는 것이 공통된 얘기다. 그러나 여성들이 벗어날 수 없게 경제적 착취를 하는 비이상적인 구조다. 빚을 갚아도 빚이 커지니 결국 몸이 아파도, 나이가 들어도 성매매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굴레 갇힐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박이경수 사무국장은 "성매매 여성들은 복지 사각지대에 있다. 수급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모든 것을 보여줘야 하는데, 성매매로 질병을 얻었다는 속마음을 꺼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중앙동의 경우 연령대가 높다. 폐쇄를 위해서는 어떤 지원 정책이 필요한지, 실질적인 도움은 될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성 구매가 불법이고 나쁜 일이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인권 교육을 병행할 때 집결지 폐쇄는 다시 한 번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신박진영 작가와 박이경수 사무국장이 만난 성매매 여성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정신분열 등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작성됐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