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리포트2021⑦] "우리는 어떻게 먹고 살라고" 업주들의 속마음은…

[도시재생리포트2021⑦] "우리는 어떻게 먹고 살라고" 업주들의 속마음은…

[문제적 공간 저항과 저항 그 경계에서] ①우리는 최하층 업주들의 이야기

  • 승인 2021-08-22 08:35
  • 수정 2021-08-24 11:03
  • 신문게재 2021-08-23 6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KakaoTalk_20210821_090310409
해가 지지 않은 평일 오후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동구 중앙동 성매매 집결지 일원에는 업주들이 길거리에서 호객 행위를 하고 있다.  사진=신가람 기자 shin9692@
"나는 아무것도 모르니까 쉬었다 갈 거 아니면 그냥 지나가슈."

대전역세권 성매매 집결지 내 업주 인터뷰를 위해 무턱대고 현장을 찾았지만, 마주한 업주들의 눈빛은 매섭고 차가웠다. 한의약 특화거리를 지나 골목으로 접어들자 길거리에 나온 업주들이 서성거리고 있었다. 해가 떨어지지도 않은 시간이다. 집결지 중심지를 지날때면 업주(청객)들은 "쉬었다 가요"라며 회유식 말들을 건네지만, 진솔한 대화를 위해 다가가는 건 쉽지 않았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업주들에게 인터뷰를 권하자 "나는 모르겠으니까 저짝들 언니들한테나 가보슈"라고 외면할 뿐이었다. 네 번째 업주를 만나고서야 "그래서, 하고 싶은 얘기가 뭔디?"라며 인터뷰에 응했다. 도심 부적격시설, 성매매 집결지 한복판에서 그렇게 인터뷰는 시작됐다.

중앙동 성매매 집결지에만 40년 넘게 있었다는 A 씨는 "도시재생 사업인가 뭔가 하는 거는 우리 같은 노인네한테 백날 설명해줘도 모른다. 여기 가게만 100군데 가까이 되고 일하는 사람만 수백 명에 달한다. 평생 이 일만 했던 사람들이 나가서 뭘 할 수 있겠느냐"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여기 업주들 보면 다 팔십 먹은 노인네들뿐이다. 앞으로 살면 얼마나 살겠나. 이대로 5년 정도만 일하다 조용히 가야지"라고 말했다.



A 씨는 인터뷰를 하면서도 손님(남자)들이 지나가면 바로 성매매를 권했다. 이때쯤 업주 B 씨도 대화에 합류했다.

B 씨도 집결지에만 40년 있었다. B 씨는 "자식 보기 부끄러워 수년 전에는 청소, 접시 닦기 등 다른 일자리를 찾으러 나가봤다. 그런데 30곳 넘게 퇴짜를 맞았다"며 "누가 불법인지 모르고, 좋아서 하겠나. 이거라도 해야 반찬값이라도 버니까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KakaoTalk_20210821_090109999
지나가는 남성들마다 "쉬다 가요"라며 조심스럽게 호객 행위를 하는 업주들이 항시 대기하고 있다..  사진=신가람 기자
대전시는 대전역세권을 중심으로 '원도심 쪽방촌 도시재생사업'을 진행 중이다. 대전역 인근 낙후된 곳에 공공임대 주택사업과 상업 활성화가 목표다. 그러나 대전시 도시재생 계획에 대해 성매매 집결지 업주들은 불신했고, 요구는 명확했다. "최소한으로 먹고살게끔만 해달라"는 것.

업주들의 다양한 대안을 내놨다. 집결지 폐쇄에 따른 정당한 토지 보상과 자활 기회, 심지어 성매매 합법화 요구까지 쏟아졌다.

B 씨는 "대전역세권 사업이라고 해서 고층 건물들 들어서면서 땅값도 확 뛸 텐데, 우리한테 보상은 현 시세로 쥐꼬리밖에 안 해줄 것 아니냐"며 "최하층인 우리가 무슨 힘이 있어서 우리를 지킬 수 있느냐. 만약에 이곳을 강제로 밀어버리면 어르신들 시위하다 전부 쓰러질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조용히 합류한 업주 C 씨도 "구체적이고 타당한 2~3개의 안을 대전시에서 가지고 와서 타협의 장을 마련하고 우리가 원하는 목소리도 정당하게 담아준다면 여기 협조하지 않는 업주들이 어디 있겠느냐"라며 "백날 행정 용어나 얘기하고 법률 얘기나 떠들어 대니 단순히 약자를 이용한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오죽하면 지역 한 곳에 집결지를 모아놓고 성매매 합법화 요구까지 얘기하겠나. 인간 취급받으려면 차라리 그게 더 나을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정당하게 세금도 다 내고 깔끔하지 않겠나. 어차피 여기를 폐쇄해도 성매매는 더 음지로 가서 성행할 것"이라고 했다.

성매매 집결지 폐쇄는 이해관계가 복잡하다. 이를 풀기 위해서는 업주와 주민협의체, 지자체의 긴밀한 소통 창구가 필요해 보였다. 공공개발로 진행하는 대전시의 도시재생이 역세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집결지 폐쇄의 방향성과 비전을 내놔야 하는 시점이다.

성매매특별법을 시행한 지 무려 17년이 지났음에도 폐쇄라는 절체절명이 순간에서도 합법화를 요구하는 시대와 동떨어진 이 간극, 결국 해결사는 대전시여야만 한다는 결론이다.

성매매 집결지 사이로 어둠이 내리기 시작했다. 거리에 곳곳에 남성들이 하나둘 눈에 보이자 업주들의 눈도 빠르게 돌아갔다.

"인제 그만 돌아가. 기자 양반 때문에 벌써 손님 많이 놓쳤어"라며 업주들은 남자들의 뒤를 홀연히 따라갔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작성됐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4.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5.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