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학교 앞 제본 가게와와는 차원 달라
세종물량 서울행… 시 재개발 추진중
'칙칙 폭폭' 하는 소리와 함께 열기가 느껴진다. 창고 같은 인쇄소 안에 있는 커다란 기계에 종이가 들어갔다가 기계 안에서 돌돌 말리다가 나와서 차곡차곡 쌓인다. 인쇄 기계 오른쪽에는 포장을 덜 뜯은 백지가 한 뭉텅이, 맞은편에는 참고서 표지처럼 보이는 하늘색 인쇄물이 한 뭉텅이가 있다. 학교 앞 제본소와는 차원이 다르다.
중구 인쇄골목의 한 인쇄소./이유나 기자 |
동구 인쇄거리의 한 인쇄소./이유나 기자 |
왼쪽에는 환한 책상에서 누군가가 인쇄된 종이를 보고 있다. 사장님께 물어보니 이곳은 색상을 확인하는 곳이라고 한다. 사장님이 운영하는 인쇄소는 화보처럼 화질이 좋고 색상이 선명한 인쇄를 하는 곳이라고 덧붙였다. 이 골목의 인쇄소들은 겉으론 똑같아 보이지만 모두 다른 인쇄를 한다. 처음 방문했던 인쇄소에서 10분 정도 걸어가면 1인 출판을 할 수 있는 인쇄소도 나온다.
인쇄물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필요한 설비가 제각각인데 설비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인쇄업은 협업이 필수다.
동구 인쇄거리에 인쇄소가 모여있다./이유나 기자 |
인쇄거리 원천의 태동이었던 충남도청과 대전지방법원, 대전시청이 둔산과 내포로 이전하면서 지금은 그 기반을 상실한데다 재개발 이슈와 엮이며 존폐 위기에 놓여있다. 기대를 모았던 세종시 출범도 인쇄골목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다. 지역 인쇄업은 설비가 노후한 데다, 서울에서 이전한 부처들은 기존에 거래를 해왔던 서울 업체와 계약을 유지하면서 크게 이전 효과를 보지도 못했다. 지역 인쇄업체들이 세종 근처에 첨단설비를 갖춘 인쇄산업단지를 요구하는 것도 이 같은 이유다.
동구 인쇄거리의 한 인쇄소. 커다란 인쇄기계가 열기를 내뿜으며 가동 중이다. |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세상에 인쇄업이 왜 필요하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인쇄는 우리 일상에 공기처럼 존재한다. 사물에 붙어있는 스티커, 안내서, 책자, 그리고 공문, 책은 물론 모두 인쇄소에서 나온 '인쇄물'이다. QR코드가 개발되면서 인쇄물의 발전 가능성도 무궁무진해졌다.
수학 교과서에 수학 개념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QR코드로 연결하는 등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결합해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쇄업도 코로나를 피해가지는 못했다.
동구 인쇄골목에서 인쇄소를 운영하는 구자빈씨는 "코로나로 여러 행사가 없어지면서 관련 인쇄물 수요도 적어져 타격이 크다"고 답하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이유나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