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수 작가 모습 |
"제 작품은 우리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일상 속 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라 생각하고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학 작가 이정수(31) 씨는 자칭 '언더독(Underdog, 싸움에서 진 개를 부르는 명칭으로 '패배자, 약자'란 뜻이다.)'을 지향하는 세태소설가다. 노동, 인권, 가난을 소재로 사회적 약자들의 이야기를 작품 속에 담는다. 그렇다고 거창한 교훈을 주는 것은 아니다. 단지 디스토피아를 보여줄 뿐이다. 그는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이지만 이면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문제를 세상 밖으로 끄집어낸다.
지난해 제28회 전태일문학상에서 수상한 단편소설 '어금니'는 이 같은 이 작가의 세계관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주인공은 비닐공장 생산직 노동자다. 고된 노동으로 신체의 고통을 느끼고 있지만 일자리를 잃지 않기 위해 어금니를 꽉 물고 참을 뿐이다. 이렇게 이 소설은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법적 보호조차 받지 못하는 노동자들의 일상을 보여준다.
이 씨가 노동인권에 관심이 많은 이유는 그의 살아온 환경과 경험에서 기인한다. 육체노동자였던 부모님을 통해 어릴 적부터 육체노동이 가져오는 고통,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것을 자주 목격했다. 어금니는 그가 공장에 다녔을 때 경험을 바탕으로 썼다. 그는 "산재 사고가 일어났을 때 사람들이 쉬쉬하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아 이야기로 풀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씨는 캐릭터를 만들 때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극히 현실적인 인물을 그려낸다. 우리 주변에 아이어맨이나 캡틴 아메리카가 없듯 그는 평범한 사람들의 군상을 잘게 나누고 각각 인물들의 특정한 면을 부각시켜 하나의 인물로 설정한다.
그렇기에 이 씨의 소설에선 악역을 심판하는 권선징악은 등장하지 않는다. 어금니에선 동료의 산재 사고에 침묵하고 외면하는 노동자들이 나름의 악역으로 나온다. 하지만 작가는 이들을 악인이라 단정 짓지 않는다. '생존의 위협 앞에서 과연 도덕을 행할 수 있을까'란 의문 때문이다.
그는 "그에 대한 행동이 악의 평범성이라고 할지라도 그 사람들의 생존 수단일 수도 있다"며 "적어도 침묵하는 사람들이 죄책감을 느끼고 문제라는걸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정도만 말해줄 뿐"이라고 했다.
카뮈와 하이데거를 좋아하는 그는 한 때 실존주의 철학에 심취했었다. 지금도 작가의 작품에 영향을 주고 있는 사상이다. 이 씨는 인간의 주체성, 삶의 주체의식 등을 중요하게 여긴다. 어떤 문제에 대해 세태에 휩쓸리지 않고 자기 주장을 펼칠 수 있는 세상을 꿈꾸며 이런 이야기들을 한다.
5월에 노동절 기념으로 아신극장 2관에서 어금니 리빙시어터를 진행했다. |
하지만 무명 작가가 자기 이름으로 책을 출판하기 힘든 세상이다. 출판사나 신춘문예를 거치지 않고는 전업 작가로서 책을 내기 어려운 구조다. 이 씨 또한 중편소설 '섬' 이후로 작품집을 간간히 냈을 뿐 그동안 본인의 이름을 내건 작품을 출판하지 못했다. 그는 "자신의 이름으로 작품을 내는 게 이제부터 시작해야 할 과제"라고 말한다.
한편 이 씨는 '알고리즘'이라는 유튜브를 소재로 한 희곡작품을 오는 8월 29일 제9회 대전청년유니브연극제를 통해 선보인다. 유튜브, 젠더갈등, 사회적불평등 등 mz세대의 갈등요소들을 담은 작품이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