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16] 충북지역,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 ‘2명’ 품다

[10년간의 취재 기록-16] 충북지역,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 ‘2명’ 품다

신라의 우륵(가야금), 충주·제천·괴산에서…조선의 박 연(국악이론) 영동에서 각각 ‘활동’
“우륵은 제천 청풍사람”…제천 향토학자, 우륵 찾기 나서, 국악계 관심

  • 승인 2021-08-16 13:46
  • 수정 2021-09-28 14:12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KakaoTalk_20210812_142413679
제천시 의림지 둑 남동쪽 마을. 신라의 우륵(가야금) 선생이 이 마을(빨강 원)에서 살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제천 류금열 학자 제공>

지난 5월, 제천 국악계가 흥분했다. 김화자(70·제천시 모산동)씨가 전공자도 어렵다는 '제47회 전주대사습놀이'에서 시조부분 장원을 차지한 것이다. 그것도 국악의 성지인 호남이 아닌 충북 산간지역에서 장원이 나온 것이다. 그의 전주대사습놀이 '깜짝 장원'은 우리나라 국악계에서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국악은 호남지방'이라는 인식이 이번 전주대사습놀이에서 다시 한번 깨졌다. 그동안 충북은 '국악의 불모지와 같다'는 평가다. 충북의 한 국악인은 "그랬어유~ 라는 충청도 사투리로 어떻게 판소리를 하겠냐"며 비아냥도 들었을 정도다.

그렇다면, 충북 제천사람인 김화자 씨의 전주대사습놀이 장원은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NO'다. 충북은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에서 2명을 품고 있다. 3대 악성은 고구려의 왕산악(거문고), 신라의 우륵(가야금), 조선의 박연(국악이론) 선생이다. 그런데 우륵은 충주·제천·괴산, 그리고 박연은 영동과 관련이 매우 깊다. 충주시는 우륵 국악단을 운영 중이고, 영동군은 난계국악단을 세계화에 힘을 쏟고 있다. 이것만 봐도 국악 초기, 충북은 국악의 성지 급이다. 제천 향토학자들이 '우륵 선생' 찾기에 나서 국악계에 관심을 받고 있다. 제천 향토사가 류금열 학자는 최근 '청풍성열현인악성우륵(771쪽)'이라는 책을 냈다. 이 책의 핵심 내용은 '우륵이 제천 청풍사람'이라는 것이다.


책에 따르면 우륵은 삼국사기에 '성열현(省熱縣) 사람'으로 기록돼 있다. 성열현은 지금의 제천시 청풍면이라는 게 류 학자의 설명이다. 류 학자는 "제천시 청풍대교 인근에 평등석(자연석)이 있었는데, 거기 평등석에서 우륵 선생 등 악사들이 노래와 함께 풍류를 즐겼다"며 "지금은 평등석이 수몰돼 사라졌지만, 청풍지역은 우리나라 국악(음악)의 성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청풍면 물태리에 위치한 청풍명월비 비석 인근에서 우륵 선생이 악사들과 함께 연주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KakaoTalk_20210816_104539671
제천시 의림지 인근에 위치한 '우륵샘'. 우륵 선생은 이곳에서 물도 마시며 풍류를 즐겼다고 전해지고 있다.
류 학자는 "1893년 우리나라 33명의 악사들이 제천 청풍면에서 우륵 정신을 받들고자 악단을 조직했다"며 "관악과 현악, 타악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6.25 전쟁 때 악기 등이 분실되면서 국악단 조직도 모두 흩어졌다"고 설명했다.

우륵의 흔적은 충북지역 곳곳에서 발견된다. 옛 문헌에 따르면 우륵은 제천 백운면 장금대에서 신라인 3명을 가르쳤다. 우륵은 또 제천의 구담봉(제천과 단양 경계)과 봉양 파병암, 의림지, 청풍면 등지에서 가야금을 연주했다. 괴산 제월대에서도 연주한 기록이 있다. 충주로 가보면 우륵이 탄금대에서 신라인의 제자를 가르쳤다는 기록도 발견됐다.

영동군과 박연(1378∼1458)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일단 박연의 묘소가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에 위치해 있다. 박 연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음악가다. 박 연의 묘소는 1987년 3월 충북도 기념물 제75호로 지정돼 있다. 영동군은 박 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호를 딴 '난계국악단'도 운영 중이다. 국악단은 충북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이다.



KakaoTalk_20210816_110000337
'제천 백운면 장금대'. 우륵 선생이 이 바위 위에서 신라인 3명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우륵 선생이 돌아가신 뒤, 이 바위가 울었다고 해서 '명(鳴) 바위'로 전해지고 있다.<제천 류금열 학자 제공>

충주와 영동지역에서 이젠 국악 관련 방송도 들을 수 있다. 사실, 엄두도 못 냈던 일이다. 국악방송은 현재 충주와 영동 지역에서 국악관련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국악방송은 2019년 3월부터 주파수 FM 99.3MHz를 통해 하루 24시간 영동군 전역에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국악방송은 또 같은 해 충주국악방송을 정식으로 개국했다. 현재 국악방송 주파수는 FM 101.7MHz로, 충주시와 음성군 지역에서 수신된다.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 관장은 "국악방송이 충북 일부지역(충주와 영동)에서 국악과 관련한 방송을 송출하는 것은 큰 의미"라며 "그만큼 충북지역이 국악과 매우 밀접한 관계로 해석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3대 악성 중 2명이 충북과 큰 연관성을 갖고 있다 것도 중요한 대목"이라고 덧붙였다. 충주시 관계자는 "(충주)탄금대는 악성 우륵 선생이 가야금을 연주한 곳으로 우륵의 선율이 흐르는 역사적인 장소"라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3.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4.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5.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1.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2.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3.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4.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5.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헤드라인 뉴스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이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 순이동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충북이었고 충남 역시 높은 인구 순이동률을 보였다. 다만,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세종만 전입자보다 전출자 수가 많아 인구 순이동률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서 시도별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달 총전입 1만 9473명, 총전출 1만 8429명으로 순유입 1044명을 기록했다. 순이동률 0.9%인데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전국에서 대전이..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