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찜했슈-당진] 왜구의 침입을 막아내기 위해 수축한 '당진 면천읍성'

  • 전국
  • 당진시

[여기 찜했슈-당진] 왜구의 침입을 막아내기 위해 수축한 '당진 면천읍성'

  • 승인 2021-08-21 09:20
  • 박승군 기자박승군 기자

 

컷-찜했슈

 

  

 

 



충청도 관내 50여 개 군의 장정이 동원돼 수축

서리태 사용한 면천 콩국수 여름철 입맛 사로잡는 별미

 

면천읍성-1
면천읍성 서면 성벽
조선 후기까지 면천 지역의 군사와 행정을 담당한 당진시 면천읍성은 1439년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충청도 관내 50여 개 군의 장정이 동원돼 쌓았다. 면천읍성은 당진시에서 유적이 가장 뚜렷이 남아 있는 조선 초기의 성이다. 지금은 서편 성벽일부만 성돌이 남아 있고 나머지 부분은 마치 토성인 것처럼 보이나 전부 석성이었던 것을 순원저수지를 막을 때 성돌을 많이 빼어다 썼기 때문이라고 한다. 버스 정류소 부근 성돌에 기미년(己未年)이라 새겨져 있고 조선실록에 이 성을 세종 21년에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해가 기미년으로 성돌에 새긴 기미년이란 것은 이 성을 쌓은 연대를 새긴 것임을 알 수 있다. 성돌에는 옥천, 석성, 진잠 등 성을 쌍을 때 인력을 동원한 고을 이름들도 새겨져 있다.

99E3C3445B8E80DF2F
면천읍성 사진
옛날 문헌기록에 따르면 성의 둘레는 3235척(약 1513m), 높이 15척(약 4.5m) 이라 하였고 적대(敵臺)가 7, 문이 3, 옹성(甕城) 1, 여장(女墻) 56이라고 기록돼 있다. 특히 1872년 면천군지도에는 관아건물의 배치 및 형태가 세밀하게 나와 있고 건물로는 객사, 동헌, 내아, 내책실, 외책실, 급창방, 내삼문, 외문루, 사령청, 군기고, 군사, 내창고, 작청, 장청, 성황사 등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조선초기에 쌓은 전형적인 평지성(平地城)으로 조선시대의 관방(關防)시설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조선 후기까지 면천 지역의 군사와 행정을 담당한 면천읍성은 지난 2014년 남문과 남벽 복원을 시작하며 제 모습 찾기에 나섰고 현재 남서쪽 치성 복원과 객사 터는 유적 발굴 조사를 거쳐 철저한 고증으로 원형을 회복하고 있다.

IE002474870_STD
면천읍성안 그 미술관 사진
특히 면천읍성은 근처에 볼거리가 여러 곳에 있다. 옛 면천우체국을 리모델링한 '면천읍성안 그 미술관'과 동네 책방 '오래된 미래', 책방과 나란히 자이들 공간은 우체국, 자전거포, 대폿집같이 오래돼 쓸모를 다한 공간에 감성을 덧입혀 다시 태어났다. 미술관과 책방에는 예쁜 휴게 공간이 마련돼 여행자를 위한 쉼터로도 손색이 없다. 이밖에 면천 골정지는 동문 터 너머에 있으며 봄이면 벚꽃이 만발하고 여름철인 요즘은 연꽃 이 만발한 이곳은 연암 박지원이 면천군수로 있을 때 조성했다. 연못 한가운데 볏짚 올린 정자는 건곤일초정이다. 인근 면천향교 유생들이 이곳을 찾아 시를 읊고 학문을 익혔다고 하며 골정지를 한 바퀴 도는 산책로도 예쁘다.

사본 -IMG_0125[1]
골정저수지 사진

또한 면천 은행나무(천연기념물 551호)는 고려 개국공신 복지겸의 딸 영랑이 중병을 앓는 아버지를 위해 심은 나무로 수령 1100년에 이른다. 딸 영랑은 아미산 진달래와 안샘 물로 두견주를 빚어 병수발에 정성을 들였고 이때 사용한 물이 솟은 안샘과 군자정은 옛 면천초등학교 옆 영랑효공원에서 만날 수 있다. 당진 면천읍성 성안마을을 천천히 돌아본 뒤에는 시원한 콩국수로 출출해진 배를 채워도 좋다. 식당에서 판매하는 서리태를 사용한 콩국수는 구수한 맛이 일품이고 열무김치, 부추김치를 얹어서 먹는 콩국수는 여름철 입맛을 사로잡는 별미다.



한편, 당진시 면천면 군자길에 자리한 면천읍성은 당일 여행코스로 적당하며 인근 우강면에 있는 김대건 신부의 탄생지인 솔뫼성지와 함께 연계한다면 볼거리와 먹거리 모두 기억에 남을 만한 만족한 여행지로 손색이 없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