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리포트2021⑥] 대전 성매매 업소 수 전국에서도 '최다' 겸업형·맥양집 여전히 영업중

[도시재생리포트2021⑥] 대전 성매매 업소 수 전국에서도 '최다' 겸업형·맥양집 여전히 영업중

  • 승인 2021-08-15 09:15
  • 수정 2021-08-24 11:01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20210812010002548_1

 

 

 

업소 수는 오히려 증가, 종사자 수 소폭 감소

대전 101곳 수도권보다 많아... 파주보다 3배

 

대전역세권 성매매 집결지의 역사는 무려 100년이다. 성매매 집결지의 태동이 대전의 역사와 동시에 시작됐다는 것은 썩 유쾌한 과거사는 아니다. 1920년 이후 철도관사촌이 자리 잡으면서 현재 동구 중동 10번지, ‘춘일정’ 일대에 유곽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이후 군부대가 주둔하던 대전역 중심으로 1970~80년대 무렵은 성매매 집결지의 호황을 누리던 시기였고, 현재까지 대전역의 어두은 그림자로 남아 있다. 대전세종연구원이 2020년 조사한 대전 성매매 집결지 실태조사 현황을 살펴보면, 집결지 폐쇄가 쉽지 않은 문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집결지 업소 수는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고, 종사자 수도 오히려 증가했다.  

대전세종연구원 2020 성매매집결지 실태조사
자료 출처=대전세종연구원 2020 성매매집결지 실태조사.
2010년 업소 수는 70곳, 2013년 68곳으로 소폭 줄었지만, 2016년 81곳으로 급증한다. 그러나 2019년에는 오히려 103곳으로 많이 늘어났다.

여성 수는 2010년 80~100명, 2013년 150명~200명, 2016년 200명, 2019년 150명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지표에는 반영되지 않은 미등록 업소와 여성들이 더 있을 것이라는 게 활동가들의 얘기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속칭, ‘밥집’ 형태가 존재하는 데, 이곳은 성매매 전후 이용하는 대기 공간이다. 이곳은 단속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 3월 기준 경찰청이 발표한 전국 성매매 집결지 현황을 봐도 대전의 업소 수는 단연 압도적이다. 서울 영등포는 업소 39곳, 종사자 116명, 미아리는 79곳, 148명이다. 부산 완월동은 10곳에 종사자 120명이고, 대전은 101개 업소에 120명의 종사자로 나타났다. 수원은 71곳, 200명, 파주 용주골은 35곳, 종사자 70명이다.

대전의 성매매 집결지가 대전역세권에 집중된 건 사실이지만, 전 지역에 분포돼 있다. 2019년 여성인권티움과 여성인권지원상담소 느티나무, 대전여성자활지원센터 시민단체가 펴낸 '이건 내 싸움이다, 대전 반성매매활동을 말하다'를 보면 대전의 성매매 실태를 엿볼 수 있다.



2019년 기준 5개 자치구에 있는 유흥주점은 293곳, 단란주점 321곳, 숙박업소 801곳, 안마업소 136곳에 달한다. 성매매 집결지는 성매매가 영업의 주된 목적인 업소가 10개 이상 밀집된 지역을 말하고, 술이나 커피, 이발, 안마 등 합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2차 형태로 성매매를 알선하는 겸업형 집결지는 동구 용전동과 서구 둔산동, 유성구 봉명동, 대덕구 신탄진동에 모여 있다.

2021년 3월 기준 전국 성매매집결지 현황
자료출처=경찰청. 2021년 3월 기준 전국 성매매집결지 현황.

일반음식점으로 허가를 받아 영업하는 ‘맥양집’은 2012년 대덕구청이 대대적으로 단속으로 대로변 업소는 전업이 이뤄졌으나, 후면골목 맥양집은 여전히 영업 중이라고 했다.

월평동에는 자유업종 밀집지역이다. 별도의 영업신고나 등록 없이 운영이 가능한 자유업종임을 앞세워 마사지와 휴게텔, 귀청소방, 멀티방, 허브방, 인형 방 등의 간판을 걸고 유사 성매매 영업을 하는 업소가 밀집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지역 반성매매 활동가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발전으로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던 성매매 알선은 온라인으로 상당수 이동했다"며 "대전이 이렇게 성매매 집결지의 중심지가 된 건 전국적으로 접근하기 쉽다는 지리적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현실을 토로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