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외면했던 진실을 보다] ②도시재생은 '공간' vs 도시재생은 '사람'
대전역세권 도시재생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쪽방촌 주거개선과 상권 활성화가 애초 목적이지만 성매매 집결지 폐쇄 요구가 더해졌기 때문이다. 정부부처 주관 사업이라 방향을 틀 수도 없고, 그렇다고 집결지 폐쇄 여론을 마냥 외면할 수도 없는 처지다. 어떤 형태로든 대전시의 결단이 필요하다. 대전역세권은 침체나 낙후보다는 '몰락했다'는 표현이 정확할 것 같다. 성매매 집결지는 불법행위를 앞세워 범접할 수 없는 영역으로 확장했다. 우범지대로 분류되면서 대중의 출입이 감소했고, 결국 자의와 타의에 의해 고립된 섬이 됐다. 이는 자연히 역세권 쇠퇴를 가져왔음을 부인할 수 없기에 성매매 집결지 폐쇄 없는 역세권 도시재생이 과연 진정성 있는 시나리오인가에 의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대전역세권 도시재생의 시작은 쪽방촌 주거개선에서 출발한다. 지난해 1월 서울 영등포 쪽방촌을 정비하면서 주요 광역시에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대대적으로 시작했다. 의도와 목적은 좋았으나 역세권 쇠퇴의 주원인인 성매매 집결지를 제외하면서 반쪽 뉴딜로 전락했다. 결국 성매매 집결지 폐쇄는 지자체 스스로 풀어야 하는 암초가 됐다.
2020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전역세권에는 100개가 넘는 성매매업소가 있고, 종사자는 150명에서 200명으로 추정됐다. 사진=이해미 기자 |
초창기 대전시의 도시재생은 '공간'에 쏠려 있었다. 쇠퇴한 상권을 활성화해 사람이 돌아올 수 있는 곳으로 만드는 게 핵심인데, 대전시는 땅을 매입하고 건물을 올리는 물리적 도시재생 계획에만 급급했다. 그러다 보니 도시재생이 이뤄지는 공간과 성매매 집결지가 공존하게 됐고 대전시의 도시재생 정체성 논란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물리적인 도시재생으로는 집결지 문제를 뿌리 뽑을 수 없다고 보고 있다. 공간을 이용하고 공간의 주체인 '사람'에 대한 고민을 이보다 앞서 진행해야만 도시재생의 극적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태일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장은 "일방적 폐쇄 후 다시 난립하는 중구 유천동과 대덕구 중리동 사례만 봐도 알 수 있다. 집결지가 도시에서 사라져야 한다는 성인지 관점과 공감에서 출발하고, 폐쇄 전후를 대비하는 대안부터 마련하는 것이 현 단계에 필요한 고민"이라고 설명했다. 도시재생 2년 차, 대전시는 '사람'을 봐야 한다는 외부 압박에 서서히 반응하기 시작했다. 이런 측면에서 대전시 '중앙동 부적격시설 추진단' 출범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물리적 변화만이 능사가 아님을, 도시재생 단일사업으로 역세권 부활을 구현해 낼 수 없다는 것에 공감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경희 대전시 성인지정책담당관은 "정책은 결국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성인지 관점에서 성매매 여성들의 탈업과 자활은 도시재생에도 필요한 요소다. 행정은 느리지만 추진단 안에서 협업하며 도시재생과 집결지 폐쇄, 자활과 그 후 대안 마련까지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민 대전여성단체연합 대표는 "대전역세권 도시재생은 집결지 역사를 어떻게 끊어낼 수 있을지, 여성들에 대한 인권과 생활(자활) 대안은 무엇인지, 남은 공간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달라"고 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작성됐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