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쓰레기 매립장은 오는 2032년 예정된 매립 종료 시점이 5~6년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 되면서 천안시가 서둘러 확장에 나섰다. 현재 10만㎡ 규모의 매립장을 5만㎡ 추가 확장을 추진하면서 토지주와 인근 주민의 반발을 예상했으나 찬성 의견을 도출해내 전국적인 모범 사례로 꼽히게 됐다. 계획대로 매립장 확장이 이뤄지면 매립장 사용 기한은 30년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쓰레기 처리를 둘러싼 갈등은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인천시가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 매립지에 서울과 경기도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더는 받지 않겠다고 '발생지 처리 원칙'을 선언하면서 쓰레기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수도권 매립지에는 서울·경기지역에서 매일 1만2000t의 쓰레기가 반입되고 있다고 한다. 인천시와 시민 입장에서 달가울 리 없는 것은 당연하다. 문제는 전국 쓰레기의 30%나 되는 서울·경기지역 배출 쓰레기가 갈 곳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천안 쓰레기 매립장의 경우 코로나 사태 이전 하루 평균 100t이었던 쓰레기 반입량이 올해 들어 300t으로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앞으로 10년 이내 포화 상태에 이르는 전국의 쓰레기 매립장을 둘러싼 갈등과 진통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매립장 추가 조성과 쓰레기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뿐이 없다. 매립장 조성을 위한 상생의 지혜와 쓰레기 감량 실천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확대가 절실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