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in, 문화人] 박혜지 작가 "산수화에 나뭇잎의 생성과 소멸을 담아요"

  • 문화
  • 공연/전시

[문화in, 문화人] 박혜지 작가 "산수화에 나뭇잎의 생성과 소멸을 담아요"

  • 승인 2021-08-06 06:00
  • 신문게재 2021-08-06 7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컷-문화인


 



"생성과 소멸의 반복, 나뭇잎이 자라고 지는 시간의 흐름을 산수로 표현하고 있어요"

흔히 산수화라 하면 자욱한 안개 사이로 돋보이는 장엄한 산을 떠올리지만, 사실 산수를 표현하는 데 어떤 특정한 방식이 있는 건 아니다. 산수화 작가 박혜지(30) 씨는 자신만의 독특한 산수를 그린다. 산속의 가장 작은 단위인 나뭇잎이 캔버스에 그득하다. 그가 떠올리는 산은 작은 잎들이 얽히고 설킨 숲이다. 산속을 거닐며 볼 수 있는 자연의 모습을 작품 안에 담는다. 목원대학교 미술대학원에 있는 작업실에서 그의 산수 이야기를 들어봤다.

박 씨의 고향은 산이 많은 옥천 청산이다. 자연스럽게 산과 풀에 친숙해질 밖에 없었다. 한지에 먹이 번지는 모습에 매력을 느껴 동양화를 전공하고 산수화를 그렸다. 나뭇잎 사이로 햇빛이 들어오는 모습도 산수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 캔버스에 나뭇잎을 채우기 시작했다.  

 

숲 안에서 130.3×162.2cm, 장지에 혼합재료, 2020.
숲 안에서 130.3×162.2cm, 장지에 혼합재료, 2020.

그는 "산에 들어갔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서 산수를 그린다"며 "나뭇잎이 산속을 감싸는 듯한 느낌의 산수를 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씨는 다채로운 색으로 산수를 표현한다. 수묵 채색 산수화다. 한지에 먹을 칠하고 그 위에 물감으로 나뭇잎을 그려 색을 입힌다. 초록색뿐 아니라 분홍색, 보라색도 사용하는데 산에 갈 때마다 달라지는 기분과 감정을 담아내기 위해서다.



나뭇잎이 사시사철 피고 지는 연속성도 보여준다. 그의 작품에는 싱그러운 나뭇잎 사이로 시간이 지나 썩어 없어지는 나뭇잎도 보인다. 소멸해가는 나뭇잎 표현을 위해 박 씨는 금박을 붙인다. 얼핏 고급스러워 보이기도 하지만 색이 바랜 나뭇잎처럼 보여 세월의 무상함마저 느껴진다.

 

 


박 씨의 산수에는 고민의 흔적과 실험정신이 엿보인다. 산수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스컬피'라는 점토 재료로 나뭇잎 모양을 만들어 붙인다. 그림에 깊이감을 주고자 한지에 색을 입혀 찢은 다음 캔버스 위에 덧붙이기도 한다. 돌가루, 나뭇잎 등 자연에서 채취한 것들을 작품 재료로 사용해보기도 했다.

 

KakaoTalk_20210801_212608206
박혜지 작가/ 정바름 기자

그는 "처음에는 채색만 하는 게 한국화 느낌을 잘 살릴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계속 산수를 그리다 보니 다양한 재료를 많이 다뤄보고 있다"며 "여러 재료를 통해 작품을 다르게 설명할 수도 있고 감정도 달리 표현할 수 있어 다양하게 연구해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에서 한국화 특히 산수화를 그리는 사람은 드물다. 하지만 박 씨는 자신만의 산수화를 꾸준히 그려 4년 전에 첫 개인전을 열고 작년에 두 번째 개인전을 치뤘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사랑하고,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다면 수입에 상관없이 선물해주고 싶다고 말한다. 관람객이 자신의 작품을 좋아하는 것이 중요하지 비싼 가격에 그림을 판다고 해서 큰 가치가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화는 한지라는 종이가 주는 따뜻한 느낌이 있다"며 "사람들이 한국화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을 많이 만들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정바름 기자 niya15@ 

 

스며드는Ⅱ 72.7×90.9cm, 장지에 혼합재료, 2020.
스며드는Ⅱ 72.7×90.9cm, 장지에 혼합재료, 2020.
깊어지는... 130.3×162.2cm, 장지에 혼합재료, 2020.
깊어지는... 130.3×162.2cm, 장지에 혼합재료, 20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연수구, 지역 대표 얼굴 ‘홍보대사 6인’ 위촉
  2. 한화vs삼성, KBO 플레이오프 첫 경기 '접전'
  3. 한화이글스, 플레이오프 첫 경기 '승리'
  4. 아산시 영인면, 100세 이상 어르신에 선물 전달
  5. 순천향대, 공공의료서비스 개선 협약 체결
  1. 아산시가족센터, '2025 조부모-아동 행복 프로젝트' 진행
  2.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3. 일단 입학만 시키자?…충청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 급증
  4. '날뛰는' 허위 폭발물 협박신고… 아산·광주·인천 등 학교 겨냥
  5. [홍석환의 3분 경영] 누구를 선택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李 대통령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 대대적 예산 투입”

李 대통령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 대대적 예산 투입”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2030년까지 국방 R&D, 항공우주 R&D에 예상을 뛰어넘는 대대적인 예산을 투입해 미래 국방을 위한 핵심기술과 무기체계를 확보하고 독자적인 우주개발을 위한 역량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국내 최대규모 방위산업 전시회인 'ADEX 2025' 개회식 축사를 통해 “방위산업 4대 강국은 결코 불가능한 꿈이 아니다. 이미 민간의 기술력과 발전 속도는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방개혁에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직원 3명의 징계 처분으로 이어진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선임 논란이 2025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2월 임명 초기 시의회와 1라운드 논쟁을 겪은 뒤, 올해 2월 감사원의 징계 처분 상황으로 2라운드를 맞이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서울 구로 을) 국회의원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세종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작된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공교롭게도 첫 질의의 화살이 박영국 대표이사 선임과 최민호 시장의 책임론으로 불거졌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 2월 12일 이에 대한 감사 결과 보고서를 공..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개청한지 1년 반이 지난 우주항공청이 국정감사에서 혹독한 평가를 받는 가운데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을 위해선 대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우주항공청의 운영 체계와 인력 구성 등 조직 안정성과 정책 추진력 모두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우주청의 구조적 한계로 '예산 부족'을 꼽는다. 올해 우주항공청 예산은 약 9650억원으로, 1조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엔 역부족인 규모다. 여기에 입지 문제도 크다. 우주청..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