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RISS 연구진 김세화 책임연구원(왼쪽), 김수호 POST-DOC(박사후연구원)이 비선형광학현미경으로 획득한 피부 이미지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
27일 과학계에 따르면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공동연구를 통해 피부 조직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이 기술로 미세먼지가 기저질환이 있는 피부에 더 깊이 침투해 염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이번 연구는 피부 노출에 의한 미세먼지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동안 호흡기를 통해 흡입된 미세먼지의 유해성 연구는 상당히 수행됐으나, 피부 노출로 인한 유해성 연구는 매우 미흡했기 때문이다.
공동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비선형광학현미경'을 이용해 피부 조직의 미세먼지를 특별한 전처리 없이 관찰했다. 사람 피부 조직에 분포하는 미세먼지를 정밀하게 관찰했다는 뜻이다.
이 과정에서 각질이 손상된 피부에는 미세먼지가 깊숙이 침투해 염증을 악화시키고 있음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앞으로 관련 피부질환 의약품 또는 화장품 개발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세화 책임연구원은 "미세먼지의 피부 침투 특성을 규명해 피부질환 관련 대응 세정제품과 보호 제품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미세먼지가 피부를 통해 체내에 유입된 이후 어떤 반응과 영향을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