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외통수 걸린 도쿄올림픽, 어쩔것인가?

  • 오피니언
  • 월요논단

[월요논단] 외통수 걸린 도쿄올림픽, 어쩔것인가?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 승인 2021-06-27 09:35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IOC는 도쿄올림픽에 일본의 2차 대전 전범기인 욱일기 사용을 허용하고 있고, 도쿄올림픽 홈페이지 지도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시하는 것도 사실상 허용했다. 욱일기는 일본이 독일과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고 욱일기와 나치기를 나란히 걸어 놓고 아시아 태평양 전 지역에서 살인, 강간, 도륙, 고문, 납치의 만행을 저지를 때 내세웠던 일본 침략의 상징물이다.

일본은 원래 침략국이다. 전쟁광 일본은 임진왜란(1592년), 청일전쟁(1894.7~1895.4), 타이완 침략(1895년), 러일전쟁(1904∼1905년), 만주사변(1931년), 중일전쟁(1937년), 일제강점기(1910~1945년), 제1차 세계대전(1914.7.28~1918.11.11), 제2차 세계대전(1939.9.1.~1945.8.15.)을 일으켰으며, 관동대학살(2만 3058명), 난징대학살(30만 명), 731부대, 위안부 등등 전쟁을 일삼는 망국의 나라이다.

1936년 베를린 IOC 총회에서 1940년 제12회 올림픽 개최국으로 도쿄가 선정됐었다. 그런데 일본은 바로 다음 해인 1937년 7월 7일 중일전쟁을 일으켰고, 국제 사회의 개최 중지 요구에 일본은 올림픽 개최를 포기했지만,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 2발을 맞고 항복할 때까지 무려 2000만 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그러고도 일본은 1960년 올림픽유치에 도전했다 실패한 후 곧바로 1964년 동경올림픽을 유치했고 금 16개로 미국, 소련 다음으로 3위에 오르며 4년 뒤(1968년) 서독을 제치고 세계 제2의 경제대국 반열에 올라섰다.



일본은 1964년 동경올림픽 이후 생활체육 활성화로 엘리트 선수를 육성한다고 했다가 쫄닥 망했다. 1951년 인도의 뉴델리 아시안게임부터 1978년 태국 방콕 아시안게임까지 28년간 아시안게임에서 1위를 했었는데, 그 뒤로 20년간 한국에 뒤처졌던 것이다.

그 후 일본은 한국을 이기기 위해 태릉선수촌을 염탐한 후 체육청을 신설하고 최첨단 스포츠 과학시설인 '아지노모토 내셔널트레이닝센터'를 건립하면서 자국의 국가대표 선수들을 극진히 대접해 착실히 엘리트스포츠를 육성해왔다. 그 결과 대한민국은 2018년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20년간 이겨왔던 일본에 40여 개의 메달 차이로 뒤처지며 참패했다.

현실을 보자. 호사카 유지 교수는 일본은 한국이 올림픽을 보이콧하면 좋아할 거라고 했다. 동의한다. 한국이 없는 올림픽에서 일본은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 우기고, 북치고 장구 치면서 세계인들을 실컷 구워삶으려고 할 것이다. 지도에 독도를 넣을 때부터 이미 계산된 계략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2021년 도쿄올림픽. 대한민국은 올림픽 출전으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필자의 부친은 57년 전인 1964년 동경올림픽에 배구선수로 출전하며 선수단 기수를 하신 정선흥(84세) 옹(翁)이시다. 출전 후 선수들의 요구로 태릉선수촌이 만들어졌고, 돈 없고 배고프던 시절에 장밋빛 미래를 꿈꿔온 수많은 선수와 지도자들의 희생으로 대한민국은 세계 스포츠계의 강자로 버텨 왔다.

일본은 올림픽을 철저히 국제정치에 이용하고 있다. 한국은 지금 외통수에 걸려 있다.

독도 문제로 불참을 얘기하던 정치인들의 입은 쏙 들어갔고, 문제가 해결도 안 됐는데 대통령은 공식초청도 못 받은 상황에서 올림픽을 간다고 하고 있다. 울화가 치밀고 성질이 나서 불참을 하고 싶지만, 불참에 따른 손실과 보상은 계산이 안 된다.

게다가 코로나19의 방역망은 더욱 위태로워지고 있고, 음식은 방사능에서 안전할 수 없는 후쿠시마산을 먹으란다. 출전해야만 하는 국가대표 선수단의 안전과 부담이 어느 해보다 가중되고 있는 위기 상황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는 인생을 걸고 출전하는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지원을 충분히 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살펴주길 바란다.

매우 힘들고 열악한 환경이지만 대한민국의 국가대표 선수들, 반드시 승리하고 돌아오길 바란다. 출전하는 모든 선수의 안전과 기원한다. /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쾌적하게 농사지으세요"
  2. (사)세계평화여성연합 천안시지부, 호국보훈의 달 맞아 천안마틴공원 환경정화 펼쳐
  3. 아산시의회, 2024년 행정사무감사서 송곳질의 이어져
  4. '아산시 송악먄행복키움, 독거어르신 생신잔치 '도란도란DAY' 진행
  5. 나사렛대, 진로취업역량 강화 및 업무협업 간담회
  1. 오경진 제29대 천안동남소방서장 퇴임
  2. 천안시,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2024년 천안문화도시 Lifestyle 페스타' 개최
  3. 아산시, '자원순환사회 형성 기여' 기관표창 받아
  4. 천안의료원, 장기요양기관 간호업무 담당자 역량강화교육
  5. "엄마나라 말과 동요 배워서 기뻤어요"

헤드라인 뉴스


더위 날린 비 즐기며 갑천 달빛걷기 성료… "젖어도 상쾌하다"

더위 날린 비 즐기며 갑천 달빛걷기 성료… "젖어도 상쾌하다"

더위를 씻겨주는 빗속 2000여 명의 참가자들이 대전 갑천변을 걸으며 평소보다 찐한 우정을 나눴다. 중도일보와 대전시체육회가 함께 마련한 '제13회 월화수목(月花水木) 대전달빛걷기대회'가 22일 오후 6시 대전엑스포시민광장에서 열렸다. 일찍 찾아온 무더위로 대회 전날(21일) 오후 7시 섭씨 30도를 기록하는 찜통 더위가 저녁까지 이어졌으나, 대회가 열린 날 내리기 시작한 강우로 23도까지 내려가 한층 시원해진 가운데 걷기대회를 진행할 수 있었다. 강우량도 시간당 1.7㎜ 내외로 최대 2.0㎜를 넘지 않는 보슬비 수준으로 우산을 받..

대전시 공공기관 이전 탄력 받나
대전시 공공기관 이전 탄력 받나

국책 연구기관이 공공기관을 이전할 때 기존 혁신도시보다 대도시(광역시)에 이전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대전시가 혁신도시 조성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3일 정부와 대전시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1차 공공기관 이전 성과 평가 용역이 완료되는 11월 이후 2차 이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용역 완료 후 국토부가 계획을 수립하면 지방시대위원회의 추가 절차를 거쳐야 해 빠르면 내년에 정해질 전망이다. 2차 이전 계획은 1차 이전 이후 나머지 120여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다. 지자체들은 구체적 이..

사과·배 치솟자 정부 수입과일 4만t 이상 들여온다... 대전 과일값 강세 계속
사과·배 치솟자 정부 수입과일 4만t 이상 들여온다... 대전 과일값 강세 계속

사과와 배 등 일부 과일값이 치솟자 정부가 수입과일 4만 톤 이상을 추가로 들여오기로 했다. 생산량 감소로 인해 수확기까지 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에 따른 조치인데, 대전에서도 사과는 개당 4000원이 넘어섰고, 배는 7000원에 판매되는 등 소매가가 급등하고 있다. 2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 사과(후지·10개) 소매 가격은 4만 1100원이다. 한 달 전(3만 5533원)보다 15.6% 올랐고, 1년 전(2만 4933)보다는 64.8% 올랐다. 6월 10일엔 10개에 4만 3650원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하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원한 빗방울에 상쾌한 대전달빛걷기대회 시원한 빗방울에 상쾌한 대전달빛걷기대회

  • 대학별 입시 정보 얻기 위한 수험생과 학부모의 발길 대학별 입시 정보 얻기 위한 수험생과 학부모의 발길

  • 학원 밀집지역 선정적 안내판 ‘눈살’ 학원 밀집지역 선정적 안내판 ‘눈살’

  • ‘많이 먹고 무럭무럭 자라렴’ ‘많이 먹고 무럭무럭 자라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