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내 골령골 아픔 담은 장편 다큐멘터리 ‘무저갱’

  • 사람들
  • 뉴스

산내 골령골 아픔 담은 장편 다큐멘터리 ‘무저갱’

정진호 PD 총괄
영어 자막본 제작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네덜란드),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일본),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한국), EBS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출품, 일반시민 공개는 올 연말에 무료로

  • 승인 2021-06-21 09:47
  • 수정 2021-06-21 10:23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IMG_20210618_150257457_01
정진호피디
정진호 PD
산내 골령골의 아픔을 담은 장편 다큐멘터리 ‘무저갱’(abyss.끝을 헤아릴 수 없는 죽음의 수렁)이 제작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진호 PD가 총괄 프로듀서를 맡은 이 작품은 한국영상위원회에서 실시한 '2020년 지역영화 제작지원작'으로 선정된 장편 다큐멘터리이다. <무저갱>(2020)은 지난 19일 오후 1시 대전 기독교연합 봉사회관 1층에 마련된 씨네인디U에서 대전 산내사건 희생자 유족들과 언론을 대상으로 한 시사회를 개최했다.

정진호 PD는 “한국전쟁 때 대전 동구 낭월동 일대의 산내 골령골에서 있었던 민간인 대량 학살사건(대전 산내 사건)에 대해 시민들의 후원을 받아 두 편의 다큐멘터리인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2018)과 <70년 만의 나들이>(2019)를 제작했다”고 말했다.

정 PD는 “이 두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팟캐스트 '아는 것이 힘이다'는 한국영상위원회와 대전시 동구로부터 지원을 받아 지난해 12월 장편 다큐멘터리 <무저갱>을 제작했는데, 코로나19 여파로 그동안 시사회를 열지 못하다가 이번에 제한적인 시사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IMG_20210618_150257457_02
이번 시사회는 대전 산내사건 희생자 유족회장과 허태정 대전시장, 황인호 동구청장과 장철민 동구 국회의원의 인사말과 영화 상영, 감독과의 대화 순서로 이어졌다.

IMG_20210618_150257457_11
<무저갱>은 <낡은 기억의 잔해>(2014)와 <허임>(2015) 등을 연출한 최재성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최재성 감독은 기획 의도에 대해 “당시 사건을 둘러싼 여러 인물들의 감정과 정서를 추가해 보편적이고 대중적으로 관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드라마타이즈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했고, 암울했던 역사에 희생당한 각각의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노력했다”며 “아직도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는 대전 산내 사건에 대한 진실이 조금이라도 더 널리 알려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IMG_20210618_150257457_12
정진호 총괄 프로듀서는 “<무저갱>은 영어 자막본으로도 제작돼 현재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네덜란드),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일본),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한국)와 EBS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한국) 등 국내외 주요 국제영화제에 출품됐다”고 소개했다.

IMG_20210618_150257457_03
정 총괄 프로듀서는 또 “심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일반 공개를 제한하는 일부 영화제 규정상 일반 시민들을 위한 공개는 올 연말에 무료로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3.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2.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5.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창의적 아이디어로 미래를 연다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