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구역과 지역민 거주 공간, 문화재 가치, 관광 공간 등 각양각색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는 만큼 소제동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절충안을 찾는 게 핵심이다. 다만 몇 채의 관사촌을 보존할 수 있을지, 문화와 관광의 접점은 어떻게 그릴지 세부적인 그림은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제동을 둘러싼 잡음은 지속될 전망이다.
대전시와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소제동 문화재생클러스터 용역을 맡은 (주)삼정이앤씨는 지난 27일 착수보고회를 열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2월부터 용역을 착수해야 했으나, 일정이 다소 지연되면서 용역 기간은 7개월 여에 불과한 상태다.
대전시 관계자는 "재개발을 하되, 문화재 측면에서 살릴 수 있는 것은 최대한 확보하고, 재생을 통해 방문객을 유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는 것이 1차 보고회에서 논의된 핵심"이라고 했다.
소제동 철도관사촌의 문화적 잠재력과 문제점은 명확했다.
용역 사업자 삼정이앤씨의 현황조사에 따르면 현재 소제동 철도관사촌은 40여 채로 철도보급창고, 소제호, 우암 송시열 등 인물과 동네의 역사적 자원이 다수다. 그럼에도 민간 위주 개발로 계획성 없는 난개발이 이뤄졌고, 과도한 리모델링은 오히려 근대문화유산 훼손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주차장과 공원도 부족하고, 방문객 증가로 기존 거주민들의 프라이버시가 심각할 정도가 악화된 상태로 봤다.
소제동 전경. |
대전도시재생센터 관계자는 "민관 전문가, 재개발 지역 조합장과 관사촌 운동본부, 영업점 대표 등을 거버넌스에 포함했다. 이분들과 수시로 논의하고 서로의 지향점을 공유하며 이해 절차를 마스터플랜에 담아야 한다. 모두에게 좋은 방향을 찾을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용역사가 발표한 향후 계획에 따르면 대동천을 중심으로 하는 마스터플랜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대동천 왼쪽에 쏠려있던 관사촌 외에도 오른편으로 일부 상가가 집중돼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소제동의 중심축은 대동천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또 소제동 내 대표적인 공공시설 대전전통나래관의 연계성, 활용성도 고려 대상이다.
한편 도심융합특구와 복합환승센터, 혁신도시에 이어 최근 발표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대전역 경유도 소제동 변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긍정적인 변수인 만큼 대전역 뒷동네가 아닌 대전역 '첫 동네'라는 인식을 안겨줄 수 있는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다.
대전도시새쟁센터 관계자는 "대전역 앞으로 트램이 경유한다는 방침이 생겼다. 이로인 한 변화돼야 할 것은 무엇인지 소제동 마스터플랜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도 잘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