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식욕 증가와 비만의 기전. KAIST 제공 |
특정 형태의 조현병 치료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이 식욕 억제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치료제 중 특정 성분이 우리 몸의 식욕을 억제하는 신경전달 물질 반응성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약물로 인한 식욕 증가와 비만을 해결해 환자가 치료에 집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7일 KA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손종우 교수 연구팀 미국 텍사스주립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첸 리우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 인해 발생하는 비만 원인을 규명했다.
비정형 항전신병 약물은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와 세로토닌 수용체에 결합해 뇌 신경 전달물질의 작용을 차단해 조현병 치료에 사용된다. 약리작용이 한 가지에 국한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라고 칭한다.
'리스페리돈'이나 '올란자핀' 같은 비정형 항전신병 약물은 조현병을 비롯해 양극성 장애·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신경정신질환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다. 비정형 항전신병 약물은 정형 항정신병 약물과 비교해 운동계 부작용이 적지만 과도한 식욕과 비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 연구팀은 리스페리돈을 먹이에 포함해 실험용쥐에게 먹여 약물에 의한 식용 증가와 비만을 재현했다. 이후 관찰을 통해 리스페리돈이 신체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뇌 시상하부에서 식욕을 억제하는 주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멜라노코르틴'에 대한 반응성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연구진은 반응성 신경세포 활성도를 높이는 식욕 억제제 '셀트멜라노티드'를 함께 처방해 리스페리돈의 효과를 보존하면서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손종우 교수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식욕 증가와 비만의 원인을 세포와 분자 수준에서 처음 규명한 연구"라며 "향후 약물을 이용한 신경정신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손 교수는 서울대 의학과에서 학사·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2014년부터 KAIST 생명과학과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실험의학저저널' 218권 7호에 현지시간 지난 12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