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에 없는 대전충남史] "넝마주이 아이들 위해 시작한 공설운동장, 지금까지 혜택 누려 "

[검색에 없는 대전충남史] "넝마주이 아이들 위해 시작한 공설운동장, 지금까지 혜택 누려 "

송기선 대전시체육인회 사무처장
충남도·대전시체육회 근무 산증인
넝마주이 아이들 재능 살리고자 모금
"한밭운동장 대안시설 착공부터" 바람

  • 승인 2021-04-28 16:20
  • 수정 2021-08-08 10:52
  • 신문게재 2021-04-29 10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송기선 옹
송기선 대전시체육회 사무처장. 충남도와 대전시체육회에서 오랫동안 몸담으며 공설운동장을 가까이서 지켜봤다.

"내 아들딸들이 즐길 곳이 하나쯤 있어야지 않겠냐고 그렇게 모금 운동이 시작됐어요, 예산이 부족하니 업자에게 공사비 대신 땅을 떼어주곤 했죠"

충남도체육회에서 시작해 대전시체육회에서 사무차장으로 2000년 7월 퇴직한 송기선 씨는 공설운동장을 만들자며 학교에서 모금 운동을 벌였던 때를 지금도 기억하고 있다. 충청도민들의 자녀들이 마음껏 뛰고 갑갑한 마음을 풀 수 있는 운동장 하나쯤 있어야지 않겠냐며 지역 유지들이 앞장섰고, 대전시민과 충남도민들은 호응했다. 시내에서 구걸하거나 헌 종이나 비닐, 빈 깡통처럼 폐품을 주어 파는 넝마주이아이들이 많을 때였고, 체육에 관한 관심도 지금보다 훨씬 높았다.

송기선 씨는 "먹고살기 힘들었지만, 우리 아이들이 마음에 응어리를 풀고 재능이라고 찾아볼 수 있게 해주자는 뜻이었고, 부산도 전국체전을 개최하는데 우리도 유치해보자는 결의도 있었다"라며 "산을 깎아서 만들 순 없으니 보문산 아래 일부 시유지 있는 주변에 논과 밭부터 매입했고 도민들의 성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이었지"라고 기억했다.

공설운동장이 추진되는 중구 부사동은 대전의 외곽이었고, 최초 공설운동장 용지로 확보된 면적은 보문오거리와 보운초등학교가 있는 부사오거리까지 지금의 규모보다 훨씬 컸다. 모금운동으로는 종합운동장을 완성하는데 부족했고, 공사를 맡을 건설사에 땅으로 보상해주는 수밖에 없었다. 북쪽으로는 영진로얄아파트가 있는 일대 부지와 남쪽의 보운초 부지 등이 최초 공설운동장 부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송기선 씨는 "60여 년 전에 추진위원들이 부지를 확보하고 개별 경기장에 밑그림을 그려 착공하지 않았다면 지금 같은 편리함은 누릴 수 없었을 것"이라며 "모금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공사비 일부를 땅을 떼어줘 지금의 규모가 됐다"라고 설명했다.

1982년 5월 대전공설운동장에서 열린 제11회 전국소년체육대회 때 전두환 대통령 내외가 참석한 가운데 성화대 기술자가 출입이 제한돼 운동장 전체가 성화대 검은 연기에 덥힌 일화가 있다. 김보성 전 대전시장의 회고록에 의하면 해당 성화대는 1979년 제60회 전국체육대회를 앞두고 한밭종합운동장을 재건축하는 공사 중에 무너졌는데 이때 지금의 위치에 다시 세운 덕에 연기가 운동장으로 들어오는 일은 없었다.

송기선 씨는 한밭종합운동장을 철거한다는 대전시 구상에 걱정이 앞선다.

송 씨는 "공설운동장에서 경기가 있을 때는 흙으로 쌓은 언덕에 앉아 경기를 보는 이들이 많았고, 시민들 공동체성을 갖는데 이바지했다"라며 "역사 깊은 체육의 요람을 헐고 다른 곳에 다시 짓겠다는데 공청회나 설명회처럼 의견을 듣는 과정이 있어야 하고, 대체 시설에 착공부터 하는 게 순서"라고 전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2021년04월29일자 10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