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열었더니 금강 '수질·생태계' 개선됐다

  • 사회/교육

보 열었더니 금강 '수질·생태계' 개선됐다

환경부, 모니터링 결과 공개
녹조 감소, 멸종위기 조류 관측

  • 승인 2021-04-13 16:22
  • 수정 2021-04-30 09:38
  • 신문게재 2021-04-14 2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Cap 2021-04-13 14-22-13-773
금강수계 보 개방 전·후 전경. /사진=환경부 제공

3개 보(洑)를 개방한 금강의 물 환경 지표가 개선되고, 멸종위기 조류가 관측된 것으로 조사됐다.

보 개방으로 물흐름이 개선된 결과로 풀이되며, 충청의 젖줄인 금강의 수질·생태계 건강성이 더욱 개선될지 관심이 모인다.

환경부는 금강, 영산강, 낙동강 등에서 개방한 11개 보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모니터링은 2017년 6월부터 지난해 하반기까지 이뤄졌다. 충청의 젖줄인 금강엔 세종보와 공주보, 백제보 3개 보가 있다. 지난해까지 세종보는 1072일, 공주보는 962일, 백제보는 183일간 완전히 개방됐다.

먼저 수질을 살펴보면 금강은 녹조(유해남조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9년 금강의 녹조는 예년 평균과 비교할 때 95% 이상 감소했다. 보 개방으로 체류 시간이 짧아지고, 물살이 빨라지는 등 물흐름 개선 효과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는 많은 강우량 영향이 더해져 전반적으로 녹조가 낮은 수준이었다.



수 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저층빈산소는 발생하지 않거나, 빈도가 감소했다. 금강 3개 보 완전개방 시기엔 저층빈산소가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백제보가 부분 개방했던 2018년엔 2번, 2019년 전반기에 1번 발생했다.

퇴적물도 개선 효과가 뚜렷했다. 금강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은 증가한 반면, 유기물질 함량은 감소했다. 그 결과, 자정작용이 활발해지고, 용존산소량이 증가해 수질·생태계 개선에 효과를 줬다. 공주보 유기물질 함량은 개방 전 1.43%에서 개방 후 0.67%로,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생태계 건강성도 좋아졌다. 보 개방 후 야생생물이 살아가는 서식 환경이 다양하게 조성되면서다. 자세히는 물흐름이 빨라져 깨끗한 모래톱, 자갈밭이 조성돼 전체적인 하천 환경이 개선됐다는 의미다. 세종보의 어류 건강성 지수는 개방 전 35.6에서 개방 후 56.6으로 크게 증가했다. 공주보도 35.4에서 42.0으로 개선됐다.

멸종위기 1급 야생생물 흰수마자가 발견되기도 했다. 흰수마자는 물살이 빠르고 깨끗한 모래가 깔린 수역에서만 서식하는 종이다. 2019년 세종보 하류에서 재발견된 뒤 지난해 공주보 상·하류에서 관측돼 서식 범위가 넓어졌음을 확인했다. 육상생물로는 보전 가치가 높은 큰거리기가 지난해 12월 세종보에서 관측됐다.

앞서 대전환경운동연합이 발표한 겨울 철새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금강 합강리(세종보 상류)에 서식하는 겨울 철새 종과 개체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새 개체가 늘었음은 물론 희귀 종인 붉은가슴흰죽지, 적갈색흰죽지와 법적 보호종인 큰고니와 황조롱이, 가창오리 등도 확인했다.

 

지역 환경단체들은 이를 근거로 금강의 자연성 회복이 확인됐다고 주장하며, 과감히 보 해체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재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지난 1월 세종보는 해체, 공주보는 부분해체, 백제보는 상시개방하는 보 처리방안을 결정한 상태다. 


자세한 모니터링 결과는 보 개방·관측 종합분석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박수현 "세종 행정수도 서울 경제수도…李 의지확고"
  2. 이종담 천안시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취약계층 주거환경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 상임위 통과
  3. [박현경골프아카데미]백스윙 어깨 골반 회전! 당기서, 누르고, 돌려주세요
  4. 천안시의회 조은석 의원, '천안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조례 개정안' 상임위 통과
  5. 천안검찰, 마약류 매매 혐의 체류기간 만료 태국인에 '징역 3년' 구형
  1.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매각부지 활용안 찾는다
  2. 천안검찰, 2만5000원에 롤 계정판매 사기 혐의 '벌금 50만원' 구형
  3. 천안시의회 건도위, 시민 불편 ZERO 위한 현장방문 실시
  4. [사설] 의대 정원 동결해도 ‘지역의료’ 괜찮을까
  5. 2025 자전거 타고 '행복도시 명소' 투어....4월 26일 열린다

헤드라인 뉴스


박수현 "세종 행정수도, 서울 경제수도…李 의지확고"

박수현 "세종 행정수도, 서울 경제수도…李 의지확고"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공주부여청양)은 18일 "세종은 행정수도, 서울은 경제수도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 캠프 공보단장을 맡고 있는 박 의원은 이날 중도일보를 찾은 자리에서 "이 후보의 행정수도 완성과 국가균형발전 의지는 강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날 이 후보가 충청권 대표 공약으로 제시한 임기 내 세종의사당과 대통령집무실 건립,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한 완전이전 약속을 재차 상기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여기서 사회적 합의는 대선 이후 여야 합의와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한 개헌을 가리키는 것이다. 때문에 박 의원..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국토교통부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기존보다 쉽게 추진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정을 조정한다.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요건에 무허가 건축물을 포함하고, 재건축진단(옛 안전진단)은 세부평가 항목을 늘려 노후 아파트의 재건축 문턱을 낮추는 게 골자다. 대전에서도 노후아파트 재건축 추진 움직임이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관련 절차 진행에도 활로가 뚫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시행령' 하위법령 개정안을 18일부터 다음 달 28일까지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발표했다.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재건축진단 기준' 하..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가 저출산과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 속 전국에서 유일하게 결혼과 출산 지표가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의 기업유치 및 다양한 청년 우선 정책이 빛을 발한 것으로풀이된다. 대전시에 따르면 과거의 대전은 교통과 주거 등 인프라 측면에서 살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가 짙었다. 그러나 지금 대전은 행정당국의 '기업 유치-대전 정착-결혼-육아-노인 복지'로 선순환 정책이 자리를 잡으면서 청년 세대에게 '살고 싶은 도시'라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도시로 성장했다. 대전 청년 정책의 효과는 통계 지표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통계청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 감염병 예방 위한 집중 방역 감염병 예방 위한 집중 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