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후기 사찰인 충북 음성군 가섭사(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 말사)...음성 가섭사는 대웅전이 무너지는 등 격변의 시대 상황을 겪어왔다. 촬영 날짜는 미상이지만 아마도 오래전 사찰 중건이나 보수 때 스님과 신도 등이 잠시 머물던 장소로 보여진다.<음성군 가섭사 주지 상인스님 제공> |
염계달은 판소리 중고제의 기초 등 '성음 표준'을 만들었던 인물이다. '도미노 현상'으로 말하면 가장 위에 서 있는 명창이다. 도미노 첫 팻말이 넘어지면 순서대로 쓰러지듯, 거의 대부분 충청도 중고제 명창들이 염계달 명창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만큼 염계달 명창은 중고제의 가장 위, 그러니까 정점에 서있던 인물이다. 중고제뿐만 아니라 판소리 동·서편제를 통틀어도 최고의 국보급이다.
그렇다면 염계달은 어떤 인물일까. 판소리 역사책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노식의 조선창극사(25페이지~28페이지)는 염계달을 이렇게 기록했다. 염계달의 출생지는 경기도 여주군이고, 충북 충주에서 머물며 살았다. 어려서부터 노래와 관련해 '천재' 소리를 들었던 그는 판소리 산 공부를 계획하고 충청도 음성 벽절로 들어가 판소리 공부를 했다.
기록에는 충청도 '음성 벽절'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은 충북도 음성군 벽절을 말한다. 벽절은 가파른 산벽 아래를 뜻한다. 조선창극사에서 기록된 벽절은 현재 음성군 가섭산 내, 고려후기 사찰인 가섭사(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 말사) 경내 산 아래 절벽으로 추정된다. 음성 가섭사 산 아래 절벽이 염계달의 '득음 장소'로 알려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염계달의 득음장소가 어디인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사찰 스님 등과 국악학계 등이 '득음터'를 추정할 뿐이다.
판소리 중고제 명창 김창룡이 1931년에 녹음한 염계달제 춘향가 '돈타령' SP음반. 김창룡 명창은 녹음에서 "염계달, 염 선생 제"라고 밝히며 취입했다. 이 곡은 염계달의 특기인 경드름으로 불린다.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염계달은 조선시대 전기 8명창에 속한다. 당시 판소리 기량이 가장 뛰어난 명창을 8명창으로 불렀는데, 염계달과 권삼득, 송흥록, 모흥갑 등이 전기 8명창에 속한다. 이후 조선 후기 명창 등으로 구분된다. 그의 출생지는 경기도 여주, 살았던 지역은 충북 충주, 득음장소는 충북 음성으로 기록돼 있다. 경기도 여주는 실제 충북 음성군, 충주시와 인접한 도시다.
당시 여주군은 행정구역상 충북도였다가 경기도로 편입된 지역이다. 염계달은 당시,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특히 판소리의 성음인 경드름(경기지방의 독특한 선율)과 추천목(그네를 타는 듯한 선율) 대목을 창시했다. 판소리 춘향가 중에서 광한루 대목인 '네 그른 내력'이 대표적인 추천목이다. 이 대목의 선율은 고수관제 '자진사랑가'와 비슷하다.
노재명 판소리 학자는 "조선시대 전기 8명창 가운데 한명인 고수관 명창이 염계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고수관이 특히 잘했다는 엇청의 원류가 염계달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조선창극사를 쓴 정노식은 초기 판소리인 중고제가 염계달 법제를 계승했다고 기록했다. 이런 점에서 염계달 판소리가 중고제의 '표준'과 같다는 게 국악계의 설명이다.
충북 청주에서 중고제 복원을 위해 노력 중인 조동언 판소리 명창은 "염계달 명창의 소리는 중고제의 첫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며 "초기 판소리의 초석을 다진 명창이 염계달인데, 그의 소리 스타일은 충청도 명창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명창들에게 영향을 줬던 인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염계달 명창이 충북 음성 벽절에서 득음했다고 했는데, 그곳이 음성군 가섭사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