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에 없는 대전충남史]김수남 작가 "판잣집은 전쟁 겪은 대전 상징적 존재"

[검색에 없는 대전충남史]김수남 작가 "판잣집은 전쟁 겪은 대전 상징적 존재"

대전에서 자라고 생활한 삶 문학으로 승화
대전천 뚝방에 두꺼비집 일렬종대 늘어서
"판잣집 재현은 대전 삶의 복원" 의미부여

  • 승인 2021-04-15 15:45
  • 수정 2021-08-08 10:51
  • 신문게재 2021-04-16 10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KakaoTalk_20210406_071736784


"중교에서 한 채 한 채 들어서던 하꼬방은 첫집이 뚜꺼비집처럼 웅크리고 세워진 지 석 달도 못 되어서 무려 100m도 넘는 일렬종대로 변했다. 하꼬방들의 모습은 오뉘처럼 닮아 있었다. 우리는 달바라기. 달을 보고 살아요. 태양은 눈부셔서 눈물이 나요. 그래서 밤마다 달만 보고 산대요."

김수남 작가는 1980년 발간한 소설 '달바라기'에서 전후(戰後) 대전시민들의 삶을 문학에 담았다. 과부집 아들 만배, 홀아비의 아들 동칠이 그리고 진구까지 전쟁에서 살아남아 대전천 판잣집에 정착한 세 아이들이 겪는 생활을 그렸다. 칡뿌리를 캐어먹으려 보문산을 헤매고 남녀노소 없이 여름밤 대전천에서 목욕하며 더위를 식히던 그 때가 소설로 재현됐다. 원동네거리에 있던 부서진 탱크는 '달바라기'에서 아이들 놀이터로 묘사됐다. 김 작가는 아이들 입을 빌려 "죽었다가 못 살아나면 어른들은 왜 총으로 쏴서 죽이구 그러니? 다시 살아날 수 있으니까 죽이는 거지."라며 전쟁의 잔혹성을 꼬집는다. 소설 속 배경은 대전천과 판잣집, 역전시장, 대전역 등인데 그는 "바람이 불면 날아가지 않으려고, 슬픈 일이 있으면 우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고 등을 잔뜩 움츠리고 있는 하꼬방"이라며 판잣집을 묘사했다.

김수남 작가는 6.25전쟁 발발 직후 대전역을 떠나는 마지막 열차 지붕에 오른 피난 세대다. 7살이던 김 작가와 10살 형, 13살 누나를 앞세우고 김 작가의 어머니는 갓난 막내까지 등에 업고 대전역 피난열차 지붕에 올랐다. 김 작가는 "대전역 열차는 유리창이 모두 깨진 채, 객실은 피난민들로 가득 차 들어갈 틈이 없었다"라며 "갓난애를 업고 채 자라지 않은 자식 셋을 앞세워 어머니는 어떻게 피난열차 지붕에 오르셨는지 놀랍고 위대하다는 말로밖에 표현할 수 없다"라고 밝혔다.



김수남 작가 '달바라기'
대전천 판잣집을 배경으로 한 김수남 작가의 소설집 '달바라기' 1980년 4월 발간한 이 책은 당시 정가 2000원이었다.
그해 9월쯤 대전에 돌아온 김 작가는 대전역에서 바라본 대전시내 풍경을 "검은 연기가 곳곳에서 올라오고 2층 이상 성한 건물이 없다시피 했다"라고 기억했다. 그가 전후(戰後) 대전에서 겪은 경험은 소설 '달바라기'에 그대로 투영됐다.

김 작가는 "폭격으로 폐허가 된 도시에 일거리와 끼니를 찾아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자재가 나무와 미군 통조림 캔이었다"라며 "얼기설기 엮어 대전천변에 판잣집 하나가 만들어지면 다른 사람이 잇대어 거처를 만들고 그렇게 반복해 일렬종대 판잣촌이 생성됐다"라고 설명했다.

허리 펼 수 없을 정도로 낮게 웅크린 판잣집은 바람 불면 흔들흔들 비명을 질렀고, 겨울이면 난로 화재 걱정이오 여름이면 홍수에 떠내려가지 않을까 근심이었다.

김수남 작가는 "여름이면 대전 사람들은 대전천을 목욕탕처럼 사용했는데 가로등도 없던 시절 남자 여자 가리지 않고 대전천에 들어가 더위를 식혔다"라고 회상했다.

그는 대전을 낳은 판잣집을 일부라도 재현해 경험을 공유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이 있다.

김수남 작가는 "대전은 6.25전쟁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고 가장 상징적인 게 판잣집이며, 판잣집 재현은 삶의 복원"이라며 "경험이 육화돼 여러 작품에 대전이 등장하는데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펜을 들고 싶다"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김수남 작가는 ▲1944년 일본 시즈오카현 출생 ▲원동초·대전중·대전고·충남대 국문학과 ▲196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조부사망급래' 당선 ▲2021년 소설집 '그자들은 쇤네를 똥개라 불렀습죠' 발간 ▲대전성모여고 교사 역임.

20210416_0101011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