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 |
나중에 먼 친척으로부터 자신이 돕고 있는 정치인에게 전화번호를 전달해줬다는 말을 전해 듣고 이해는 했지만, 어디선가 보이스피싱을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생각까지 하게 됐다.
4·7 보궐선거 선거운동 과정에서 지역 정치인들을 활용하는 민주당의 '연고자 찾기' 선거운동 캠페인을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공천권을 틀어지고 있다 보니 지역 정치인들은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참여할 수밖에 없는 데다, 무분별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자들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연고자 찾기' 캠페인은 서울과 부산시장 재·보선 투표 전 지방의원들을 통해 서울과 부산에 사는 지인들의 연락처를 수집하고 연락해 투표를 독려하기 위해 시작한 민주당의 자체 캠페인이다. 지역 정치인들이 서울과 부산에 연고지를 둔 지인에게 개인적으로 투표를 독려하는 방식과 함께 당 차원으로 공식적 지지를 호소하는 선거운동이다.
하지만 여기에 당 대표 포상을 내걸면서 애초 친한 지인에게 투표를 독려하는 취지에서 벗어나 안팎으로 불필요한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캠페인 초기엔 추천인의 이름과 연락처만 적어 제출하던 방식에서 실적을 올리기 위해 제3 자 추천까지 넣다 보니 지금은 이름, 연락처에 주소까지 작성해 제출하는 방법으로 바뀌었다. 추천인은 서울과 부산 주소를 둔 이들로 보궐선거권이 있는 사람이 추천대상자이지만, 이사를 하거나 잘 모르는 지인의 지인으로부터 잘못된 개인정보까지 취합하다 보니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애초 취지와 달리 실제 선거운동 과정에서 효율성은 찾아볼 수 없고 내부 경쟁만 치열해지면서 의원들 간 불편한 관계까지 만들어지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대전의 모 지방의원은 "당내 포상만 바라면서 경쟁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아 보이고 오히려 부작용이 더 많아 보인다"며 "당 대표의 포상이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 지방의회에선 공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다른 지역이나 지역구 선거를 위해 '지인 찾기', '연고자 찾기' 등은 보편적으로 활용하는 선거운동 방법이지만, 포상까지 내걸고 무분별한 개인정보 유출을 묵인하는 방식엔 문제가 있다고 강조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홍정민 수석대변인은 "당내에서 당 대표의 포상까지 내 걸었다면 취지에 맞게 선거운동을 해야 했지만, 전화번호 수집이나 전달 과정에서 애당초 취지와는 다르게 진행하면서 공정한 선거를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