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전경(중도일보DB). |
기존 무가선 열차 방식에서 가선-무가선 혼용으로 달라지고, 기본 설계 용역에 지역과 국내 업체만 선정하는 등 장기적인 도시계획을 담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1일 대전시의회 제256회 산업건설위원회 임시회에서, 시의원들은 우선 전체 노선 무가선 방식에서 가선과 무가선 혼용 방식으로 달라진 점을 꼬집었다. 대전시 트램도시광역본부는 대전형 트램은 기술적 한계로 순환형 노선 36.6㎞ 구간 중 1/3인 12.2㎞ 구간은 배터리 사용 방식이 아닌 전력 공급선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김찬술 산건위원장은 "지난해 11월 설계용역을 맡기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대전형 트램은 전 노선 무가선 방식으로 보고했다"며 "트램이 전국에서 최초로 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문가는 없다고 봐야 하는데, 대전시에선 이런 부분을 계속 간과하면서 문제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1일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가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
김찬술 위원장은 "순환형 장거리로 구성한다고 설계를 하면서 경험도 없는 업체로만 설계부터 시작하는 것 자치가 어불성설"이라며 "노선도 바뀌고 이제는 가선 방식도 혼용으로 바뀌는데, 공사가 완료되더라도 비전문적으로 지어진 트램이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라고 강조했다.
또 지속적으로 트램 노선 등 기본 계획이 달라지고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그러면서 트램이 혁신도시인 대덕구 연축지구와 대전역 등을 거치지 않는다는 점을 꼬집었다.
박수빈 의원은 "지하철과 버스, 택시 등 공공교통 적자만 2000억이 넘고 재차 바뀐 트램의 구동방식인 가선-무가선 혼용방식조차 검증이 되지 않았다"며 "시공을 늦어지더라도 다각도로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과정을 거쳐 트램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했다.
조성배 트램도시광역본부장은 "현재 얘기 나오고 있는 유·무가선 혼용에 대한 민원 문제, 진잠역 거점 노선 양분화 제안과 장기적 도시계획 차원 노선 검토 등 염려하고 있는 내용을 보완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