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 여론조사]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與野 잘하고 있나… 여야 모두에 채찍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중도일보 여론조사]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與野 잘하고 있나… 여야 모두에 채찍

與, 과반 의석 확보에도 국회법 개정안 처리 미뤄… 부정평가 34%>긍정평가 29.1%
野, 선제적인 로드맵 제시 않고 매번 대립각… 부정평가 31.2%> 긍정평가 23.7%

  • 승인 2021-01-04 01:00
  • 신문게재 2021-01-04 4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KakaoTalk_20201229_1124586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충청권 최대 현안 가운데 하나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추진과 관련 충청인들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에 낙제점을 줬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174석의 압도적 과반 의석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국회법 개정안 처리를 차일피일 미루고 보수야당인 국민의힘 역시 매번 뒷짐을 지는 행태를 되풀이하는 것에 대한 지역민 피로감이 이번 여론조사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중도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제이비플러스에 의뢰해 지난달 21일부터 22일까지 대전·세종·충남·충북 주민 1008명 대상으로 여론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민주당이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긍정평가(매우 그렇다+그렇다)는 29.1%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부정평가(아니다+매우 그렇지 않다)는 34.0%로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에 관해 부정적 여론이 긍정 여론을 4.9%p 앞섰다. 이어 '보통이다'라고 답한 사람은 31.5%, '잘 모르겠다'는 5.4%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행정수도 수혜지역인 세종에서의 부정평가가 높게 나타난 것이 매우 이례적이다. 대전 38.6%, 충남 33.6%, 충북 28.5%의 부정평가에 비해 세종의 부정평가는 42.1%로 충청권에서 가장 높았다.

세종에서 조차 부정적 여론이 따르는 원인으로는 세종의사당 설치를 위한 법률적 근거를 담은 국회법 개정안 처리에 민주당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민주당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특정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는 안정적 과반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안 처리에 시간을 끄는 것은 세 달 앞으로 다가온 4·7 서울 및 부산시장 보궐선거와 내년 차기대선에서 행행정수도 이슈를 다시 활용하겠다는 정략적 의도가 깔려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국민의힘에 대한 여론도 마찬가지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국민의힘이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긍정평가(매우그렇다+그렇다)는 23.7%에 불과했다. 부정평가(아니다+매우 그렇지 않다)는 31.2%로 긍정평가보다 7.5%p나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 세종의 부정평가는 각각 36.8%, 35.7%로 나타나 충남 27.3%, 충북 30.2%의 부정평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행정수도 이슈에 있어 국민의힘에 대한 부정평가 높은 이유는 선제적인 로드맵을 내놓지 않고 여당에 항상 대립각을 세우는 데 주력해온 것에 대한 지역민의 평가가 반영된 것이라는 지적이다.

예컨대 민주당의 경우 세종의사당 설치와 관련해 11개 상임위 우선 이전 후 완전 이전 로드맵을 내놓았지만, 국민의힘은 이와 관련해 이렇다 할 당론이 없다. 주호영 원내대표가 "일부 상임위만 시범적으로 이전하자"라는 발언을 했을 뿐이다. 앞서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은 지난 2019년 예산정국에서 세종의사당을 100대 문제사업으로 규정하고 관련 예산 전액을 삭감하려는 시도도 있어 충청인을 분노케 한 바 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캡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