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극심한 '주차난'으로 높아지는 스트레스...근본 해결책은?

  • 비주얼
  •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 극심한 '주차난'으로 높아지는 스트레스...근본 해결책은?

설문자 51% "주차문화 성숙하지 않은편" 응답
운전자의 81% "주차장 부족문제 심각수준" 평가

  • 승인 2020-12-08 15:40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인포-주차문제
집이 직장과 가깝다. 조금 부지런 떨면 걸어서 출근할 수 있다. 하지만 둘째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회사까지 걸어갈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핑계로 대부분 자가용을 이용한다.

다만, 아침마다 주차할 공간을 찾아 헤매는 수고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도시의 어디를 가든 주차문제는 늘 따라다닌다. 주차난은 자가용 운전자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스트레스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운전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세부터 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주차장' 이용 및 '주차장 앱' 관련 인식조사를 진행한 결과 우리나라 주차 문화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차난의 근본 해결책은 당연히 '주차공간 확보'다. 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이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여러 주차문제가 불거진다.



우리나라 주차문제의 가장 큰 원인으로 '주차장이 부족해서'라는 응답이 53.2%로 가장 큰 비율을 나타냈다.

이어 '가구당 차량 보유 수가 늘어서' 40.5%, '나는 괜찮을 거로 생각하는 이기심' 37.0%, '불법 주정차하는 차량이 많아서' 33.0%, '공영주차장 시설이 적어서' 31.9%, '불법 주정차 단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21.4%, '가까운 거리도 차를 몰고 나오는 사람이 많아서' 18.0%, '운전하는 사람이 증가해서' 17.3%, '주차장 이용요금이 비싸서' 16.0% 순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차문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을지도 알아봤다.

그 결과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공영주차장이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91.5%로 가장 큰 비율을 보였다.

이어 '주차난이 심해지면서 보행자의 안전도 위협받는다' 90.3%, '적정한 주차공간을 확보하지 못했다면 건물이나 주택의 건설을 허가하면 안 된다' 85.5%, '주차는 해결을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더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한다' 75.2%, '한 세대가 2대 이상 차량을 주차할 경우 거주면적에 관계없이 추가 주차비를 부과할 필요가 있다' 67.5%, '주차난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유료주차장이 필요하다' 46.6% 순이다.

우리나라 주차 문화는 성숙하지 않은 편이라는 생각이 절반이 넘는 51%를 차지했으며, 운전자의 81.5%가 주차장 부족 문제를 심각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2.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3.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4. 제80차 동구포럼 ‘생활인구 유입을 위한 소제동.원동 활용 방안 모색’
  5. 우울증 완화 위한 노인맞춤돌봄 특화서비스 자조모임
  1. 상가 공실 해소될까… 세종시 상가용도 추가 완화 나서
  2. 다시 살펴본 '어진·나성·대평동' 상권 공실, 심각 그 이상
  3. 연암대-㈜그린플러스 MOU 체결
  4. 천안시의회 복지문화위원회, 제주 워케이션 정책 벤치마킹
  5. 천안중앙도서관, '시니어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헤드라인 뉴스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이재명 대통령의 충청권 방문에 지역 현안 건의를 기대했지만, 개인 민원 소통 구간으로 전락하면서 지역 사회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 문제가 거론되기는 했지만, 정부의 입장만 되풀이 하는 등 심도 있는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전·충남 통합과 충청권메가시티, CTX(충청광역급행열차), 대전교도소 이전 등 지역 현안은 논의테이블에 오르지도 못했다. 이 대통령은 4일 대전DCC에서 '충청에서 듣다, 충청 타운홀 미팅'을 열고 지역 연구자, 창업가, 자영업자, 노동자 등 다양한 시민들과 마주 앉아 과학기술 정책의..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충청 보수야권이 4일 대전을 찾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한 이재명 대통령에게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과 함께 충청이 이미 행정수도 이전 혜택을 받았다는 이 대통령의 주장을 충청에 대한 철저한 배제, 행정수도 완성이란 국가적 약속을 뒤엎는 중대 사안으로 규정하고, 전면적인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주제로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 전날인 3일 취임 30일 첫 기자회견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한 것을 넘어 충청..

벼랑 끝까지 몰린 충청 자영업자... 폐업자 수 7만 4000명 넘어섰다
벼랑 끝까지 몰린 충청 자영업자... 폐업자 수 7만 4000명 넘어섰다

2024년 충청권에서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7만 4000명대를 넘어섰다. 폐업 사유를 사업 부진으로 답한 이들이 대다수인데,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여과 없이 드러나고 있다. 6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대전·세종·충남 사업자는 7만 4018명으로 집계됐다. 폐업자는 2020년 6만 4777명에서 2021년 6만 3543명, 2022년 6만 2710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3년 들어 7만 1923명으로 7만 명대를 처음으로 돌파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