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물관리위원회와 환경부가 금강 4대강 보 시설물에 대한 처리방안을 조만간 결정할 방침인 가운데 비공개 국민인식조사 결과가 진영논리에 활용되고 있다. 사진은 금강 세종보. |
여론조사를 한 국가물관리위원회와 환경부는 2018년 조사 때는 공개하던 것과 다르게 올해 결과는 비공개 원칙을 고수해 오해를 초래하고 있다.
최근 국민의힘 정진석 국회의원이 허재영 국가물관리위원장을 면담 후 자신의 SNS에, "정부의 금강 보(洑) 처리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 '공주보, 백제보 필요하다' 의견 우세"라는 글을 남기면서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대한 진실공방이 펼쳐졌다.
환경운동연합은 정 의원의 발표를 반박하는 성명서를 내고, "국민인식조사에서 보 지역 국민의 49.1%가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고 보 시설물에 대해서는 39.1%가 불필요, 44.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라고 직접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인용했다.
그러나 정진석 의원이 국민인식조사의 여러 지표 중 백제보와 공주보 인근 주민에 대한 조사결과만 공개한 것이라는 한계가 있다.
또 이를 반박하며 환경운동연합이 공개한 통계 자료도 금강수계뿐만 아니라 영산강 지역의 인식조사가 반영된 전국평균 수치로 금강수계 주민들의 금강 4대강 보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지는 못했다.
![]() |
환경부가 지난해 3월 주민설명회에서 발표한 2018년 12월 금강수계 국민인식조사결과. 변화추세를 파악할 올해 통계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
동일한 주제의 국민인식조사를 2018년 12월 실시하고 다음해 공주와 세종, 청양에서 개최한 주민설명회에서 공개한 것과 대조적이다.
당시 환경부는 향후 보 처리방안 필요성 여론조사 결과에 "국민적 동의&신중한 접근 필요"라고 요약하기도 했다.
국가물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올해 국민인식조사 결과는 보 처리방안 결정을 위한 내·외부 위원들에게 통보됐고 내부검토를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 중"이라고 비공개 이유를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