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세종보 개방 후 전경. /금강유역본부 제공 |
강은 자연과 사람의 생존에 필요한 물 공급원으로, 문화의 원천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우리나라 한반도 남쪽은 5개의 큰 강을 중심으로 유역이 형성돼 있고, 각 유역은 많은 강과 내가 혈관처럼 수계로 연결돼 생명수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충청의 젖줄인 금강은 유역면적을 기준으로 세 번째로 큰 강이며, 강 중류에 대도시가 위치한다. 상류부터 용담·대청댐 등 2개의 댐, 세종·공주·백제보 등 3개의 보가 하굿둑까지 연결된 특징을 지닌다.
▲자연성 고민 없는 개발사업 부작용
도시·산업화를 거치면서 수많은 시설물이 강에 설치되고, 본래의 기능과 다른 목적으로 점용하는 등 강은 시련을 겪어왔다.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된 4대강 살리기 사업은 기후변화 대응과 하천복원을 표방했지만, 시작부터 논란이 컸다. 대규모 준설과 보 건설 등 하천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녹조 빈발·생태계 교란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며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기도 했다.
자연성 회복 측면의 깊은 고민 없는 개발사업이 어떤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지 체감한 사례다.
금강 공주보 개방 후 전경./금강유역본부 제공 |
문재인 정부는 출범 후 4대강 조사평가단을 통해 세종보의 완전한 해체와 공주보 부분해체, 백제보 상시개방을 제안했다. 하지만 보를 철거·해체하면 수위가 낮아져 농사를 짓는 데 불리하다고 판단한 일부 주민의 반대로 제동이 걸렸다.
세종·공주·백제보가 위치한 지자체는 대체로 철거나 부분 해체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세종시의 경우 도시 유지관리에 필요한 용수 확보방안 등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4대강 보 처리방안 결정은 국가물관리위원회 소관이다. 현재 의견은 어느 정도 종합한 상태로, 이제 국가에서 결론을 내는 일만 남았다.
금강유역이 자연성 회복의 시금석이 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공모델로 자리 잡도록 미래세대와 자연에 대한 배려, 거버넌스 활용한 시민사회 의견 수렴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세종 어린이 식생채집 생태체험 모습./금강유역본부 제공 |
이런 가운데, 금강 세종·공주보의 완전 개방 이후 생태계 개선의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모니터링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환경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의 개방으로 모래톱과 수변공간이 늘어나고 생물 서식처가 다양하게 형성되면서, 흰수마자를 비롯한 멸종위기종이 발견되는 등 금강의 자연성 회복 가능성이 확인됐다.
금강 공주보는 2017년 6월부터, 세종보는 같은 해 11월부터 수문을 개방했다. 올해 6월 기준으로 공주보는 778일, 세종보는 888일 동안 완전히 개방했다.
물흐름이 빨라지면서 퇴적물의 모래 비율이 증가했고, 유기물질 함량이 줄어드는 등 개방 효과가 관측된다는 설명이다.
지역주민 김 모씨는 "수문을 열어 놓으니 갤러리와 카페가 생기고, 강과 가까이 문화가 살아나고 있다"며 "금강 자연성 회복의 가치를 공유하고 시민들이 충분히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금강변을 따라 자전거 라이딩을 즐기는 시민들. /금강유역본부 제공 |
국내 유일의 물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발전해 온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2018년 물관리일원화로 국민의 기대감을 한몸에 받고 있다.
K-water 금강유역본부 역시 금강의 자연성 회복과 금강 유역의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해 '금강 자연성 회복 및 3뉴딜'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금강 생태가치 체험과 국민 공감대 확산을 위해 캠핑 페스티벌, 물 사진전, 어린이 생태전문가 양성 등에 앞장서 왔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수돗물 유충 사태, 집중 호우 등으로 인해 물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주민참여형 의제 발굴과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강 문화 프로그램을 확대할 방침이다.
민경진 금강유역본부장은 "현재 물관리위원회를 중심으로 강이 자연적인 모습에 가까우면서도 기능과 혜택이 유지되고 강화돼 모든 생명이 강의 풍요를 누릴 수 있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K-water에서도 환경부 등 정부정책에 적극 협조해 강이 자연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